본 게시물은 일부 제휴 링크를 포함하여 일정액의 수수료를 지급받습니다.

원달러 환율 1,700원 ‘충격’ 논란, LA 공항에 무슨일이?

주말에 지인이 급히 보낸 사진을 보고 잠깐 멍해졌어요. LA 공항 환전소 전광판에 ‘달러 살 때 1,734원’이 찍혀 있었거든요. 최근 환율이 1,400원대 중반까지 오른 건 알고 있었지만, 1,700원대 숫자는 마음을 철렁하게 만들기에 충분했어요. 그런데 이 숫자는 외환시장 환율이 아니라 공항 환전소의 ‘판매가’에 가깝다는 점을 먼저 짚어야 해요. 사진 한 장에 겁먹을 필요가 없다는 뜻이에요.

목차

LA 공항 1,700원대의 정체: ‘환율’이 아니라 ‘환전 가격’

LA 국제공항 공식 환전소 고시(2025년 10월 12일 기준)에 따르면 달러를 살 때 1,734원, 달러를 팔 때 1,205원으로 표시됐어요. 즉 원화를 내고 달러를 바꿀 때 적용되는 건 ‘시장 환율’이 아니라 환전소가 붙인 판매가예요. 같은 날 LA 시내 사설 환전소는 달러 살 때 1,543원, 팔 때 1,343원 수준이었죠. 차이가 꽤 크죠.

구분달러 살 때(원→달러)달러 팔 때(달러→원)
LA 공항 환전소1,734원1,205원
LA 시내 사설 환전소1,543원1,343원

같은 1달러라도 장소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는 이유는 간단해요. ‘환전 가격=시장 환율+수수료(스프레드)’ 구조기 때문이에요.

핵심 개념 요약: 환율과 스프레드는 다르다

개념설명
시장 환율외환시장에서 거래되는 원/달러 가격이에요. 금융뉴스에 나오는 1,4XX원 수준이 여기에 해당해요.
환전소 매도율환전소가 고객에게 달러를 ‘파는’ 가격이에요. 시장 환율에 각종 비용과 마진이 더해져 더 비싸요.
환전소 매입율환전소가 고객의 달러를 ‘사는’ 가격이에요. 시장 환율보다 낮게 책정되는 경우가 많아요.
스프레드매도율과 매입율의 차이예요. 사실상 수수료이자 환전소의 이익, 비용·위험 보상이에요.

우리가 ‘환율 우대 90%’ 같은 문구를 볼 때도 본질은 스프레드 할인이에요. 즉 시장 환율을 할인하는 게 아니라 환전소가 붙인 차액을 깎아주는 구조라는 뜻이에요.

공항이 특히 비싼 이유: 캡티브·비용·재고 위험

요인왜 스프레드가 커지나
캡티브 마켓공항은 경쟁이 사실상 차단돼요. 시간에 쫓기는 여행자들은 선택지가 적어서 높은 스프레드를 받아들이기 쉬워요.
높은 운영비임대료, 인건비, 보안비용 등 고정비가 큽니다. 비용이 클수록 매매가 차이를 넓혀 회수해요.
재고·환리스크다양한 통화를 재고로 보유해야 하고, 환율 변동에 따른 손실 위험이 있어요. 이 위험 프리미엄이 가격에 반영돼요.

이 구조를 이해하면 공항 전광판의 1,7XX원이 ‘한국 경제의 단면’이라기보다는 ‘공항 환전의 비싼 가격표’에 가깝다는 게 보일 거예요. 사진 속 숫자를 외환시장 환율로 오해하지 않는 것, 그게 첫 단계예요.

그럼에도 환율은 올랐다: 시장 이슈와 심리

다만 시장 환율 자체가 오른 것도 사실이에요. 미·중 갈등 재점화 발언, 대형 지표 발표 대기, 글로벌 빅테크 변동성 등 대외 변수로 원화가 약세를 보인 구간이 있었죠. 이런 뉴스는 단기적으로 외환·주식시장 심리를 크게 흔들어요. 숫자에 반응하는 건 자연스러워요. 다만 단기 충격과 구조적 흐름을 구분하는 습관이 중요해요.

여행자는 이렇게 준비: 환전 실전 팁 한 장

상황실전 팁
출국 전주거래 은행의 ‘환율 우대(스프레드 할인)’를 앱으로 미리 신청해요. 소액은 은행·시내 환전소, 잔액은 체크·신용카드 해외결제로 분산해요.
공항 직전필수 현금만 공항에서 바꾸고 대부분은 현지 카드로 결제해요. 공항은 비싼 ‘편의 비용’이라고 생각하면 마음이 편해요.
현지 도착도심 사설 환전소가 더 유리한 경우가 많아요. 다만 환전소 평판·수수료 구조를 꼭 확인해요.
USD 외 통화카드가 유리한 통화(예: 비인기통화)는 굳이 현금 환전 비중을 키우지 않아요.

공항·도심 어디서든 ‘매도/매입’ 표기를 제대로 보고 비교하는 습관, 정말 중요해요. 매도율은 내가 살 때, 매입율은 내가 팔 때 적용된다는 원칙만 기억하세요.

투자자는 이렇게 본다: 환율 공포와 기회비용

“환율이 비싸서 미국주식은 나중에…”라는 말, 주변에서 요즘 정말 자주 들어요. 저도 예전에 그랬고요. 그런데 외환은 세계에서 가장 예측이 어려운 시장 중 하나예요. 저점·고점을 맞추겠다는 전략은 실행이 어렵고, 기다리는 사이 ‘기업의 복리 성장’이 흘러가요. 특히 달러 자산 보유는 원화 약세 구간에서 자연스러운 헤지(위험 분산) 역할을 해요.

생각의 함정대안적 프레임
환율이 조금만 내리면 사야지분할매수·정기적 매수로 평균 매입단가를 관리해요. 타이밍 집착을 시스템으로 대체해요.
환율이 높은데 달러 주식은 손해기업 가치·실적·현금흐름이 장기 수익을 좌우해요. 환율은 ‘노이즈’일 수 있어요.
국내 대형주로 대체하면 안전자산 통화 분산이 핵심이에요. 원화 쏠림은 다른 리스크를 키워요.
한 번에 큰돈, 타이밍 승부규칙 기반의 적립식·리밸런싱으로 감정 변동을 줄여요.

장기적으로는 ‘무엇을 얼마에 얼마나 오래 들고 가느냐’가 수익을 정합니다. 환율 공포에 움츠러들수록 기회비용이 커져요. 결국 투자자는 환율이 아니라 기업과 포트폴리오를 사는 거예요.

자주 묻는 오해 4문4답

질문핵심 답변
공항 1,700원이면 외환시장도 1,700원?아니에요. 공항 환전 ‘판매가’예요. 시장 환율과 환전소 스프레드를 구분해야 해요.
사진 한 장으로 경제 위기?단정 어렵습니다. 장소·수수료·시점에 따라 환전 가격은 크게 달라져요.
환율 높으니 미국주식은 금물?장기 분산 관점에선 지나친 타이밍 집착이 더 큰 비용이 될 수 있어요.
우대 90%면 대박 할인?스프레드(차액) 할인일 뿐, 시장 환율 자체를 90% 내리는 게 아니에요.

정리: 숫자에 놀라지 말고 구조를 보자

공항 전광판의 1,7XX원은 ‘비싼 편의점 가격’ 같은 거예요. 급할 때 사는 만큼 비싸죠. 시장 환율과 환전 가격, 스프레드를 구분하면 공포가 줄어들어요. 여행자는 채널을 분산해 비용을 낮추고, 투자자는 기업·포트폴리오 관점으로 시야를 넓히면 돼요. 숫자에 휘둘리지 않고 구조를 이해하는 사람에게 기회는 더 자주, 더 크게 옵니다.

빗썸 10월 역대급 신규 이벤트, 내돈 0원으로 비트코인 7만원 받는법
유튜브 ‘공유 구독’ 괜찮을까? 겜스고 1년 써보고 느낀 장단점 솔직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