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게시물은 일부 제휴 링크를 포함하여 일정액의 수수료를 지급받습니다.

거여새마을 공공재개발, 지금 사전 체크해야 할 핵심 포인트

“강남3구 최초 공공재개발.” 이 한 줄만으로도 마음이 흔들리죠. 거여새마을은 이미 조건부 확정 단계를 넘어 시공사까지 정해진 상황이에요. 바로 옆 마천1~5구역도 단계별로 속도를 내고 있어서, 송파 동남권이 한꺼번에 바뀌는 전환점에 서 있습니다. 오늘은 복잡한 용어를 최대한 빼고, 숫자와 지도로 이해하는 방식으로 ‘어디가, 무엇이, 얼마나’ 바뀌는지 쉽게 정리해봤어요.

목차

거여·마천, 왜 지금 주목받나

거여·마천은 위로 하남(감일), 아래로 위례신도시와 맞닿아 있어요. 아직 낙후 이미지가 남아있지만, 새 아파트가 순차 입주하며 분위기가 달라졌습니다. 신호탄은 거여 2-1구역 송파 시그니처 롯데캐슬과 2-2구역 e편한세상 송파 파크센트럴이 쐈죠. 이 둘이 사실상 ‘가격 기준점’ 역할을 하고 있어요.

단지/타입매매 호가·실거래(최근 구간)전세(대략)
시그니처 롯데캐슬 59호가 13.4~15억 / 실거래 13억 후반7억대
시그니처 롯데캐슬 84호가 15.5~20억 / 실거래 16억 중반7~8억대
파크센트럴 59호가 12.5~16억 / 실거래 13억 중반6.5억 내외
파크센트럴 84호가 14.5~18억 / 실거래 14.5~16억6.7~8억
송파파크데일 84호가 9억 중반~12억 / 실거래 9~10억

교통도 서서히 좋아집니다. 위례트램선(위례선)이 거여새마을 배후를 지난다는 점이 크고, 위례과천선·위례신사선 연장 논의도 장기적으로 호재예요. 교통망과 신축 공급이 동시에 붙으면서, ‘낙후 이미지 → 신축 벨트’로 체질 개선이 진행 중입니다.

거여새마을: 강남3구 최초 공공재개발의 실체

거여새마을은 공공재개발 방식으로 추진돼요. 쉽게 말하면, 조합 대신 LH 등 공공이 사업을 끌고 가는 구조라 속도와 공공성(임대·기부채납 등)을 함께 챙기는 모델입니다. 정비계획은 이미 통과됐고, 시공사는 삼성물산·GS 컨소시엄으로 확정됐어요.

핵심 항목내용비고
위치/범위송파구 거여동 일대(거여역세권)위례·감일 인접
규모최고 35층, 약 1,654~1,678세대12개동 제시 사례
용적률(상한)약 282% 이하고시 기준
추정 비례율약 112%고시 문구상의 추정
권리산정기준일2020.9.21 / 추가편입 2022.6.23거래·지위 판정 핵심
브랜드/특화레미안·자이 컨셉, 판상형·테라스·펜트커뮤니티 면적 확대

재정비촉진계획 고시에는 총수입·총지출·종전자산 추정치 같은 숫자도 담겨요. 이런 수치는 사업 단계가 바뀔 때마다 변동될 수 있으니, 최신 버전을 기준으로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과거 자료에는 84㎡ 조합원 분양가 ‘약 10.3억’ 같은 계획 숫자가 보이지만, 착공 전까지는 바뀔 여지가 있어요.

타임라인: 지금 어디까지 왔나

거여새마을은 2011년 촉진지구 편입 → 2014년 존치관리 → 2021년 공공재개발 후보지 선정 → 2023년 정비계획 결정고시 → 2024년 시공사 선정까지 왔습니다. 현재는 통합심의 준비로 알려져 있고, 이후 사업시행계획인가, 관리처분, 착공·분양 순으로 넘어가요. 공공재개발은 민간 재개발 대비 ‘절차의 표준화’가 장점이지만, 보완 요구에 따라 일정이 조정될 수 있다는 점은 감안해야 합니다.

마천 1~5구역: 각자 다른 속도로 전진

거여새마을 바로 옆 마천 구역들도 속도를 내는 중이에요. 단, 출발선과 엔진이 다릅니다. 어떤 곳은 시공사가 정해졌고, 어떤 곳은 신속통합기획(신통기획)으로 정비구역 지정 단계에 있죠.

구역진행 단계특징
마천1구역조합 설립 이후 추가 진척 이슈대형 구역, 의사결정 이슈 수시 점검
마천2구역신통기획 확정 → 정비구역 지정 임박교통·교육·친환경 밑그림 완성
마천3구역건축심의 통과, 시공사 GS건설 선정지상 최고 25층, 2,300가구대 규모
마천4구역현대건설(디에이치 클라우드) 수의계약관리처분인가 통과, 막바지 국면
마천5구역신통기획 후보지 → 촉진계획 결정최고 39층, 2,041가구 계획

이 표에서 핵심은 ‘속도의 비대칭’이에요. 4구역은 분양 레이스 직전 느낌이고, 3구역은 시공사 확정으로 궤도에 올랐어요. 2·5구역은 신통기획으로 한 단계씩 올라가고 있고, 1구역은 의사결정 과정이 변수입니다. 투자·실거주 관점에선 “언제, 어떤 리스크를 감수할지”를 구역별로 다르게 잡아야 해요.

리모델링 라인: 거여 4·5단지 체크

재개발과 별개로, 거여4·5단지 리모델링도 움직입니다. 포스코이앤씨 수주(4단지), 조합설립 변경인가(5단지) 등 단계별 진척이 있어서 ‘역세권 리모델링’ 축이 함께 형성되는 모습이에요. 반대로 거여1단지는 해산 총회로 사업이 철회됐다는 점도 참고하세요. 동일 생활권 안에서 재개발·리모델링이 섞여 진행되면, 연식 스펙트럼이 다양해져 수요 선택지가 넓어집니다.

권리·비용·리스크: 숫자 3개만 기억하기

첫째, 권리산정기준일입니다. 거여새마을은 2020.9.21, 추가편입 구역은 2022.6.23이 기준점이에요. 이 날짜 이후의 신축·거래는 지위 인정에 제약이 있을 수 있어 반드시 확인해야 해요.

둘째, 용적률입니다. 고시 기준 282% 이하가 상한 가이드예요. 용적률이 높아지면 일반분양 물량·커뮤니티 규모 등 설계가 바뀔 수 있어요.

셋째, 비례율·분담금입니다. 고시상 추정 비례율 112% 같은 숫자는 ‘그때의 추정’이므로 최종 고시는 달라질 수 있어요. 개인별 분담금도 법·설계·공사비 변화로 상시 조정됩니다. 과거 자료의 84㎡ ‘약 10.3억’ 같은 수치는 고정값이 아니에요.

실전 체크리스트: 지금 할 일

1) 구역별 단계와 내 일정 매칭 — 입주/전세 만기, 자금 계획을 표로 놓고 4·3구역(가까운 곳) vs 2·5구역(중기) vs 1구역(장기)의 ‘시간축’을 맞춰보세요.

2) 교통 계획 재확인 — 위례트램선, 위례과천선·위례신사선 연장 이슈는 ‘개통 시점’과 ‘정확한 노선’이 중요합니다. 계획→인가→착공→개통 순서로 단계별 다시 점검해요.

3) 권리산정기준일·지위 — 매수 전 등기부·건축물대장·현장 상태를 대조해 지위를 깔끔히 확인하세요. 자칫하면 분담금·배정 타입에서 오해가 생깁니다.

4) 시세 앵커 점검 — 시그니처·파크센트럴 실거래가가 ‘앵커’ 역할을 합니다. 분양가/일반분양가, 인근 분양가상한제 여부를 같이 봐야 해요.

한 줄 평가: ‘동남권 체질개선’의 바로미터

거여새마을은 강남3구 최초 공공재개발이라는 상징성과 함께, 실제 생활권의 지도가 바뀌는 현장입니다. 바로 옆 마천 3·4구역의 빠른 호흡, 2·5구역의 신통기획 진전까지 합쳐지면, 거여·마천은 ‘송파의 마지막 퍼즐’ 느낌이에요. 변수가 많은 재정비 사업이지만, 지금은 정보 격차가 수익과 직결되는 구간입니다. 표·지도·일정을 내 상황에 붙여서, 6개월 단위로 업데이트해 보세요. 결론은 분명합니다. “지금 알아두면, 나중에 빠르게 움직일 수 있어요.”

빗썸 10월 역대급 신규 이벤트, 내돈 0원으로 비트코인 7만원 받는법
유튜브 ‘공유 구독’ 괜찮을까? 겜스고 1년 써보고 느낀 장단점 솔직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