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게시물은 일부 제휴 링크를 포함하여 일정액의 수수료를 지급받습니다.

월드리버티파이낸셜 코인(WLFI), 트럼프가 만들었다는데… 사도될까?

최근 업비트가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 코인 거래 지원을 공식 발표하면서, 가상자산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신규 코인 상장을 넘어, 미국 달러 기반의 스테이블코인 디파이(DeFi) 모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커요. 특히 ‘트럼프 일가가 관여한 프로젝트’라는 점이 알려지면서 정치와 금융이 교차하는 흥미로운 실험으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목차

WLFI 코인은 무엇인가요?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은 이름 그대로 ‘세계 자유 금융’을 표방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예요. 핵심은 미국 달러를 기축으로 한 탈중앙화 금융 생태계 구축입니다. 즉, 기존 은행처럼 중앙 기관이 아닌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금융 거래가 이뤄지는 시스템이에요.

WLFI는 단순한 결제용 코인이 아니라, 프로젝트 내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거버넌스 토큰 역할을 합니다. 이는 사용자가 단순 투자자가 아닌 참여자로서 정책 제안이나 투표 등에 참여할 수 있다는 의미예요.

흥미로운 점은 이 프로젝트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경제 비전에서 영감을 받았다는 점이에요. 실제로 트럼프의 장남과 차남이 공동 창립자로 이름을 올렸고, 트럼프 본인은 명예 공동 설립자로 참여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부분은 프로젝트 홍보의 일환일 가능성도 있지만, 미국 중심 디파이 모델을 내세운 것은 분명한 전략이에요.

업비트 상장 일정과 거래 조건

WLFI는 2025년 9월 1일 업비트에 신규 상장되었습니다. 이더리움(ETH) 네트워크 기반으로 입출금이 가능하며, 거래 가능한 마켓은 KRW, BTC, USDT 세 가지입니다.

상장 초기에는 몇 가지 거래 제한이 있었어요. 거래 시작 후 약 5분 동안은 매수 주문이 제한되고, 약 2시간 동안은 지정가 주문만 가능했습니다. 또한 최저 매도가 제한되어 초기 시장 안정을 위한 조치가 취해졌죠.

항목내용
입출금 개시2025년 9월 1일 오후 9시 (이더리움 네트워크)
거래 시작같은 날 오후 10시
지원 마켓KRW / BTC / USDT
제한 조건초기 5분 매수 제한, 2시간 지정가 거래만 허용
주의사항ETH 네트워크 외 입출금 불가, 트래블룰 검증 필요

업비트는 WLFI의 컨트랙트 주소를 반드시 확인할 것을 강조했어요. 잘못된 네트워크로 입금하면 자산이 소실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본인 명의의 지갑 주소만 입출금이 가능하며, 불명확한 출처의 고액 입금은 자금 출처 소명을 요구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 시세와 유동성 분석

WLFI는 상장 직후 글로벌 거래소 LBank 기준으로 0.45달러(약 600원)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었습니다. 하루 최고가는 0.888달러, 최저가는 0.422달러로 확인되었고, 거래량은 1,100만 개 WLFI에 달했습니다.

즉, 단기적으로는 이미 상당한 유동성이 확보된 상황이에요. 코인마켓캡에 등록된 극단적인 저가(0.1원대)는 현실적인 기준이 아니며, 실제 거래가 이루어지는 LBank 시세(0.4~0.8달러 구간)를 참고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다만 국내 상장 이후에는 업비트 원화마켓 특성상 프리미엄이 붙을 가능성이 높아요. 이는 투자 수요가 집중되면 가격 변동성이 커질 수 있음을 의미하죠.

WLFI 프로젝트의 비전

WLFI는 미국 달러를 중심으로 한 디파이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합니다. 탈중앙화 금융(DeFi)이란, 기존 금융기관 없이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대출·결제·투자 등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에요.

프로젝트는 미국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를 강화하는 동시에, 블록체인을 통해 전 세계 사용자들이 접근 가능한 ‘글로벌 디지털 달러 생태계’를 만들겠다는 비전을 갖고 있습니다. 이런 측면에서 WLFI는 단순히 ‘코인 투자’가 아니라, 정치·경제적 실험이라는 해석도 가능해요.

상장 이후 가격 흐름과 투자 포인트

상장 첫날 시가는 약 391원이었고, 1분 만에 495원까지 급등했다가 곧바로 327원 수준까지 하락했어요. 이는 전형적인 ‘상장 초 단기 급등 후 조정 패턴’입니다.

특히 초기 투자자들이 0.05달러 이하에 매수했던 점을 고려하면, 이미 상당한 차익 실현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상장가 대비 10배 이상의 수익을 본 사례도 보고됐어요.

다만 전체 물량 중 20%만 거래가 허용되는 등 유통 제한이 있었기 때문에 단기 급락은 ‘이익 실현 후 유동성 감소’의 전형적 흐름으로 볼 수 있습니다.

요소의미
단기 급등초기 수요 집중, 상장 기대감 반영
급락 구간초기 투자자 차익 실현 및 유통 물량 제한 영향
저항선0.45~0.46달러 구간, 매도 물량 집중 예상
기술적 반등 가능성단기 갭 메우기 반등 가능하지만 중장기 추세는 불확실

기술적 관점에서 보면, WLFI의 가격 흐름은 세력 중심의 ‘스마트 머니’ 움직임과 유사한 형태를 보입니다. 상장 직후 거래량이 급증하고, 일반 투자자가 매수에 몰릴 때 세력이 매도해 수익을 실현하는 구조죠. 이런 패턴은 변동성이 큰 신규 상장 코인에서 자주 나타납니다.

리스크와 주의할 점

WLFI의 비전은 분명 흥미롭지만, 정책 리스크가 큽니다. 특히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각국의 규제 변화에 따라 가격이 급등락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트럼프 관련 프로젝트라는 점이 정치적 논란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도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또한, 탈중앙화를 내세우지만 실제 운영 주체가 명확하지 않다면 완전한 디파이로 보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투자 전 백서와 공식 채널을 반드시 확인하고, 거래소 유동성과 프로젝트 투명성을 함께 검토하는 것이 중요해요.

정리하며

WLFI 코인은 단순히 새로운 가상자산의 등장이 아니라, 미국 달러 중심의 글로벌 금융 패러다임을 블록체인으로 옮겨보려는 시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상장 초기에는 화려한 변동성과 관심이 이어졌지만, 앞으로의 성패는 프로젝트의 실제 활용성과 정책 대응력에 달려 있습니다.

따라서 단기 가격보다는 중장기 로드맵과 신뢰성 있는 파트너십 여부를 주목할 필요가 있어요. 변동성이 큰 시장일수록, 냉정한 분석과 분산투자가 필수입니다.

향후 WLFI가 스테이블코인 및 디파이 시장에서 어떤 자리를 차지할지, 그 움직임을 지켜볼 가치가 있습니다.

빗썸 10월 신규가입 이벤트, 7만원 받고 현금화하는 방법
코인원 역대급 신규가입 이벤트, 10.4만원 혜택받는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