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게시물은 일부 제휴 링크를 포함하여 일정액의 수수료를 지급받습니다.

카카오톡 친구탭 논란, 결국 6일 만에 GG치다

목차

카카오톡은 왜 바꿨을까?

카카오톡은 2009년 출시 이후 국민 메신저라는 별명을 얻을 만큼 많은 사람들이 쓰는 앱이에요. 그런데 15년 만에 큰 변화를 시도했습니다. 바로 친구탭을 기존의 목록형에서 피드형으로 전환한 것이죠. 피드형이란 쉽게 말해 인스타그램처럼 친구들의 프로필 변경, 상태 메시지 수정, 사진 업로드 같은 활동이 자동으로 흘러가는 방식이에요.

카카오는 이를 통해 메신저를 넘어 소셜미디어 성격을 강화하려 했습니다. 체류 시간을 늘리고 광고를 자연스럽게 노출하려는 목적도 있었죠. 향후 AI와 연계할 기반을 만들겠다는 구상까지 포함돼 있었습니다. 하지만 사용자 반응은 예상보다 훨씬 부정적이었어요.

사용자 반발, 무엇이 문제였나?

변경 직후 앱스토어에는 1점 리뷰가 쏟아졌습니다. 주된 불만은 크게 세 가지였어요.

문제점설명
사생활 노출친구가 프로필 사진만 바꿔도 피드에 노출돼 원치 않는 정보까지 보게 됨.
광고 증가친구 소식 사이사이에 광고가 끼어들어 사용성이 떨어짐.
메신저 본질 훼손단순히 연락하려는 사람들에겐 ‘쓸데없이 복잡한 SNS 흉내내기’로 보였음.

특히 “메신저는 메신저답게, SNS는 SNS답게!”라는 목소리가 많았고, 일부 이용자들은 “쉰스타그램”이라는 조롱 섞인 표현까지 쓰며 불만을 드러냈습니다.

연예인과 일반 사용자까지 합류한 불만

흥미로운 건 단순히 일반 사용자만 불편해한 게 아니라는 점이에요. 가수 이영지 씨가 “업데이트 안 하려고 버텼는데, 강제로 바뀌는 건 아니냐”고 공개적으로 불만을 제기했죠. 유명인들의 발언은 언론 보도로 이어졌고, 이슈가 더 크게 확산됐습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카카오 주가는 하루 만에 4% 넘게 빠지며 6만 원 선이 무너졌어요. 단순한 UI 논란이 기업 이미지와 주가에도 영향을 준 사례였습니다.

카카오는 왜 빠르게 물러섰나?

카카오는 결국 불과 6일 만에 기존 친구목록 방식으로 되돌리는 개선안을 발표했습니다. 다만 완전히 되돌린 것은 아니고, 기본값은 목록형으로 복원하되 피드형은 ‘소식’ 메뉴로 분리해 선택적으로 보도록 했습니다.

이 결정은 단순한 ‘실패한 시도’라기보다 빠르게 피드백을 반영했다는 의미로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수익 확대 전략이 사용자 경험을 해치면 곧바로 역풍을 맞는다’는 교훈을 남겼습니다.

추가 논란: 미성년자 숏폼 콘텐츠

이번 개편과 맞물려 또 다른 논란이 있었는데요. 바로 숏폼 콘텐츠입니다. 카카오톡 ‘지금탭’에 짧은 영상들이 들어가면서 학부모 사이에선 “아이들이 자극적 영상에 노출된다”는 불만이 커졌습니다. 카카오는 이에 대응해 미성년자 보호조치 신청 메뉴를 추가했고, 앞으로는 더 간단한 보호 설정도 마련하겠다고 했습니다.

이번 사건이 남긴 교훈

카카오톡 친구탭 논란은 단순히 UI 변경 문제를 넘어, 플랫폼 전략과 사용자 경험이 충돌할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예요.

비슷한 전례로는 인스타그램이 사진 중심에서 동영상 중심으로 바꾸려다 큰 반발을 산 일이 있고, 네이버 카페가 광고 위주로 개편되며 이용자 이탈이 일어난 사례도 있죠. 공통점은 플랫폼의 수익 욕구와 이용자의 사용 맥락이 충돌했을 때 생기는 반발이라는 겁니다.

카카오가 배워야 할 점은 분명합니다.
– 메신저 본질인 단순함을 유지할 것
– 새로운 기능은 원하면 선택할 수 있도록 할 것
– 수익 모델 확대보다 사용자 경험을 우선시할 것

결국 본질을 해치면 이용자는 떠납니다. 이번 사건은 카카오뿐만 아니라 모든 플랫폼 기업에 중요한 메시지를 던졌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의 카카오톡은?

카카오는 올 4분기 내에 변경된 업데이트를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기본 화면은 다시 목록형 친구탭으로 돌아오고, 피드형 소식은 필요할 때만 볼 수 있도록 조정됩니다. 또한 숏폼 콘텐츠와 미성년자 보호 기능도 개선될 예정이에요.

저 역시 개인적으로는 “메신저는 메신저답게” 돌아가는 것이 가장 큰 개선이라고 봅니다. 사용자들이 원할 때 선택하는 옵션은 괜찮지만, 기본은 단순하고 편리해야 하니까요.

앞으로 카카오가 이용자들의 목소리를 얼마나 충실히 반영할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빗썸 역대급 신규가입 이벤트! 7만원 혜택 받고 현금화하는 방법

투자공부하기 좋은 갤럭시북4 70만원대 노트북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