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광고 포함

낸드 플래시 시장 반등, eSSD·QLC 수요와 관련주 정리

낸드 플래시 시장이 다시 주목받고 있어요. 한동안 AI 반도체라고 하면 GPU와 HBM이 중심이었는데, 최근에는 저장장치인 낸드 플래시가 큰 흐름을 만들고 있습니다. AI가 학습(Training)에서 추론(Inference)으로 옮겨가면서 대규모 데이터를 저장하고 빠르게 불러올 장치가 중요해졌기 때문이에요. 이 과정에서 eSSD(기업용 SSD)와 QLC(쿼드 레벨 셀) 기술이 시장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고, 관련 기업들도 주가가 크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목차

낸드 플래시란 무엇인가

낸드 플래시는 데이터를 전기적으로 저장하는 반도체 메모리입니다. 기존의 HDD(하드디스크)가 자기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식이라면, SSD(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는 낸드 플래시를 이용해 전기적 신호로 저장해요. 속도가 빠르고 전력 소모가 적어 현재는 SSD가 대세입니다.

그중 eSSD는 데이터센터나 서버처럼 고성능·고안정성이 요구되는 환경에서 쓰이는 기업용 SSD를 말합니다. 그리고 QLC(Quad Level Cell)는 한 셀에 4비트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같은 공간에 더 많은 데이터를 담을 수 있어 대용량·저비용 SSD 생산에 유리합니다. 대규모 AI 데이터센터에서 HDD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로 꼽히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왜 다시 주목받는가?

최근 낸드 플래시 시장은 글로벌 차원에서 큰 반등을 보였습니다. 2025년 2분기 기준 전 분기 대비 22% 성장하며 매출은 약 20조 원에 달했어요. 그 배경에는 몇 가지 흐름이 있습니다.

  • AI 서비스가 추론 중심으로 바뀌며 빠른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한 SSD 수요 확대
  • HDD 공급 부족과 납기 지연으로 인한 SSD 전환 가속
  • 글로벌 주요 기업들의 낸드 가격 인상 및 공급 조절

예를 들어, 샌디스크와 마이크론이 낸드 가격 인상에 나섰고, 웨스턴디지털은 HDD 가격을 올리면서 SSD 채택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만들어졌습니다.

글로벌 기업들의 성과

이런 시장 흐름 속에서 주요 기업들의 실적도 크게 개선됐습니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점유율 32.9%로 1위를 유지했고, SK그룹은 21.1%까지 점유율을 끌어올리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SK하이닉스와 자회사 솔리다임은 엔터프라이즈 SSD 판매 급증과 321단 낸드 양산을 통해 빠르게 성장했습니다.

기업 2025년 2분기 매출 점유율 특징
삼성전자 52억 달러 32.9% AI 서버용 SSD 수요 확대, 재고 관리 전략
SK그룹 33억 4천만 달러 21.1% 솔리다임 eSSD 판매 급증, 321단 낸드 기술력 확보
마이크론 공개 안 됨 약 13% 데이터센터 SSD 부문 역대 최고 매출
키옥시아·샌디스크 공개 안 됨 각각 10% 내외 글로벌 경쟁 유지

국내 낸드 관련주 동향

최근 국내 증시에서도 낸드 관련주들이 큰 폭으로 움직이고 있어요. 낸드 공급 부족(쇼티지) 뉴스와 함께 SSD 전환 가속이 부각되며 주요 종목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삼화전기

삼화전기는 S-CAP이라는 SSD용 커패시터를 삼성전자와 공동 개발한 기업입니다. AI 서버 수요 확대와 함께 S-CAP 수요도 증가하며 주가 반등이 나타났습니다. 또한 전장용 하이브리드 캡도 성장 동력으로 꼽히고 있어요.

한양디지텍

한양디지텍은 메모리 모듈과 SSD를 조립·테스트하는 OSAT 기업입니다. 삼성전자에 메모리 모듈을 공급하고, 베트남 공장에서 연간 2,500만 개의 SSD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습니다. 낸드 쇼티지 국면에서 직접적인 수혜가 예상되는 종목이에요.

기타 소부장 기업들

기업명 주요 제품 특징
티엘비 SSD용 PCB SSD 핵심 부품 생산
이엔에프테크놀로지 화학 소재 낸드 공정 필수 재료 공급, 미국 공장 보유
하나머티리얼즈 Si, SiC 식각 부품 낸드용 매출 비중이 높음, 아산 제2공장 확장
에프에스티 극저온 식각 장비 낸드 미세화 공정 핵심 장비
한솔아이원스 식각 챔버 부품 AMAT 등 글로벌 고객사 확보
테스 PECVD 증착 장비 3D 낸드 시장 확대 수혜, 창사 이래 최대 실적
티씨케이 SiC 식각링 세계 최고 수준 기술력, 높은 영업이익률

향후 전망

단기적으로는 낸드 가격이 이미 반등했고, 일부 기업들의 주가도 급등한 만큼 고점 부담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AI 데이터센터 확산과 함께 고용량·고성능 SSD 수요는 계속 늘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QLC 기반 eSSD는 HDD를 대체하는 대안으로 자리잡을 수 있어요.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는 중국 보조금 정책과 미국 관세에 따른 수요가 점차 완화되며 3분기 이후에는 안정 국면에 들어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AI, 클라우드, 자율주행,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 SSD 수요가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정리

낸드 플래시 시장은 단순한 반도체 공급 사이클을 넘어, AI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다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SK그룹 같은 글로벌 기업들의 경쟁은 물론, 국내 소부장 기업들도 기술력과 생산능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지금은 변곡점에 놓인 시기인 만큼, 단기적인 등락에 흔들리기보다는 장기적인 수요 확대라는 큰 흐름을 이해하는 게 중요해요.

주식 투자공부하기 좋은 갤럭시북4 70만원대 노트북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