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광고 포함

30~40대 평균 연봉·순자산, 왜 이렇게 높게 보일까?

뉴스에서 “30~40대 평균 순자산은 4억 원 이상”, “평균 연봉은 5천만 원에 육박한다”라는 기사가 나오면 많은 사람들이 놀라곤 합니다. 실제 생활에서 체감하는 소득이나 자산 수준과는 다르게 들리기 때문이에요. 그렇다면 이런 숫자는 어떻게 계산된 것이고, 왜 생각보다 높게 나타나는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통계 자료를 기반으로 대한민국 30~40대의 평균 연봉과 순자산 현황, 그리고 그 이면에 숨겨진 함정을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30~40대 평균 연봉: 숫자보다 체감이 낮은 이유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전체 근로자의 평균 월급은 약 374만 원, 30대는 401만 원, 40대는 454만 원입니다. 이를 연봉으로 환산하면 각각 4,484만 원, 4,807만 원, 5,448만 원 수준이에요. 언뜻 보면 “생각보다 많이 받네?”라는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에는 평균의 함정이 숨어 있습니다. 평균은 전체 소득을 더해 근로자 수로 나눈 값이라, 상위 몇 %의 고소득자가 평균을 크게 끌어올리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래서 실제 체감 소득을 보여주는 지표로는 ‘중위소득’이 더 현실적이에요.

연령대 평균 연봉 중위 연봉
30~34세 4,458만 원 3,917만 원
35~39세 5,256만 원 4,555만 원
40대 전체 약 5,448만 원 약 4,800만 원

즉, 평균만 보면 30대 후반은 연봉 5천만 원이 넘지만 실제로는 4천만 원대 중반 정도가 보다 현실적인 수준인 거예요.

순자산 평균: 4억 원이 현실일까?

순자산은 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값입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 전체 가구의 평균 순자산은 4억 4,894만 원, 39세 이하 가구는 2억 2,158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수치만 보면 “생각보다 다들 자산이 많네?”라는 인상을 줍니다.

그러나 이 역시 평균의 왜곡이 작용합니다. 10억 이상 자산을 가진 상위 10% 가구가 평균을 크게 끌어올리고 있기 때문이에요. 실제로는 전체 가구의 45%가 2억 원 미만의 순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위값은 약 2억 4천만 원에 불과합니다.

구간 가구 비율
0원 ~ 1억 미만 26.2%
2억 미만 45%
10억 이상 10.9%

즉, 평균 순자산이 4억 원대라고 해도 실제 절반의 가구는 2억 원대 이하를 가지고 있는 셈입니다.

가구 기준 통계의 함정

순자산 통계는 개인이 아니라 가구 단위로 계산됩니다. 한국의 평균 가구원 수는 약 2.2명으로, 부부가 함께 소득을 벌고 자산을 모으는 경우가 많아요. 예를 들어 부부가 각각 3천만 원을 모으고 부모님에게 5천만 원을 증여받으면 순자산은 1억 7천만 원이 됩니다. 하지만 1인 가구라면 같은 속도로 모으더라도 훨씬 낮은 수치로 나타나겠죠.

그래서 “30대 평균 순자산이 2억 원대”라고 하지만, 실제 1인 가구 입장에서는 그보다 훨씬 적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합니다.

중위층과 계층별 구분

대한민국 계층 구분을 순자산 기준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계층 순자산 (가구 기준) 1인당 환산
빈곤층 1억 원 이하 약 4,200만 원 이하
서민층 1억 ~ 3억 원 약 4,200만 ~ 1억 2,500만 원
중위층 3억 ~ 10억 원 약 1억 2,500만 ~ 4억 1,700만 원
상위층 10억 원 이상 4억 원 이상

이 구조를 보면 우리 사회는 미국처럼 극단적인 양극화는 아니고, 다이아몬드형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중위층 비중이 가장 많고 빈곤층은 상대적으로 적은 구조라는 것이죠.

정리: 평균을 그대로 믿으면 안 되는 이유

결론적으로 30~40대 평균 연봉과 순자산은 생각보다 높게 느껴지지만, 이는 고소득자·고자산가가 수치를 끌어올린 결과입니다. 따라서 평균보다는 중위값이 훨씬 더 현실적인 지표예요.

즉, 뉴스를 보고 “내 연봉은 왜 평균보다 적지?”라고 낙담할 필요가 없습니다. 실제로는 많은 사람들이 비슷한 상황에 있고, 평균이라는 숫자는 일부 상위 계층의 영향으로 과장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실을 냉정하게 이해하는 것이 재테크와 미래 자산 관리의 첫걸음입니다. 평균의 환상에서 벗어나 자신에게 맞는 목표를 세우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부동산 투자공부하기 좋은 모니터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