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통비 부담, 현명하게 줄이는 법
최근 들어 지하철, 버스 등 대중교통 요금이 많이 오르면서 교통비 절약법에 관심이 높아요. 특히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정액제 패스(이른바 ‘기후동행카드’)와 교통비 환급형 패스(K-패스)라는 두 가지 방식이 활성화되어 있는데, 각각의 장단점이 뚜렷해서 선택이 고민될 수 있습니다. 2026년에는 전국 어디서나 쓸 수 있는 전국형 정액패스까지 도입될 예정이어서, 더 많은 선택지가 생길 것 같아요.기후동행카드: 서울 중심, 무제한 정액권의 매력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월정액 교통패스입니다. 한 달에 62,000원만 내면 서울의 시내버스와 지하철을 무제한으로 탈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에요. 19~39세 청년은 55,000원(따릉이 포함은 58,000원)까지 할인을 받을 수 있고, 2025년 9월부터는 청소년, 저소득층, 다자녀 가정 등이 더 큰 폭의 할인을 받게 됩니다. 기후동행카드는 아침 출근길, 저녁 퇴근길 등 교통 이동이 많은 분에게 적합합니다. 이동 횟수가 많을 수록 가성비가 높아져요. 게다가 따릉이(서울시 자전거) 옵션까지 추가할 수 있어, 출퇴근 후 한강변 산책이나 레저 활동까지 한 장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기후동행카드 가격 및 할인표
구분 | 기본 요금 | 할인 대상 요금 | 따릉이 포함권 | 한강버스 추가 |
---|---|---|---|---|
일반 | 62,000원 | 해당 없음 | 65,000원 | 67,000원 |
청년/청소년 | 62,000원 | 55,000원 | 58,000원 | 60,000원 |
저소득층/3자녀 이상 | 62,000원 | 45,000원 | 48,000원 | 50,000원 |
K-패스: 교외·수도권 출퇴근자에게 환급 ‘짠테크’
K-패스는 수도권, 경기도, 인천 등 서울 외 지역에서 쓰는 사람들에게 더 유리한 교통비 환급 정책입니다. K-패스의 가장 큰 특징은 ‘쓴 만큼 되돌려 받는’ 환급형 카드라는 점이에요. 서울 정액권과 다르게 광역버스, 신분당선, GTX 등도 포함돼서 출퇴근 거리가 길거나 여러 교통수단을 타는 분들에게 최적입니다.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최대 60회까지 교통을 이용하면 다음 달 일정 비율만큼 환급받습니다. 일반인은 20%, 청년은 30%, 저소득층은 53.3%까지 환급률이 적용돼요. 예를 들어, 매월 8만 원 상당의 교통비를 쓰는 20대 청년이 K-패스를 사용하면 2만4천 원을 다음달에 돌려받는 셈입니다.K-패스 환급률 및 지역별 옵션
구분 | 기본 환급률 | 최대 환급(청년/저소득층) | 특별지역(경기·인천) 옵션 |
---|---|---|---|
일반 | 20% | 해당 없음 | 환급 횟수 무제한 |
청년 | 30% | 해당 없음 | 환급 횟수 무제한 |
저소득층 | 53% | 해당 없음 | 환급 횟수 무제한 |
K-패스 신청과 사용법
K-패스 가입은 간단합니다. K-패스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한 뒤, 제휴 체크카드나 신용카드만 등록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조건은 한 달 15회 이상 교통카드를 사용해야 하며, 이후 자동으로 환급이 진행되어 별도의 신청은 거의 필요하지 않아요.2026년 전국 대중교통 정액패스: 전국 어디서든 한 달 무제한
2026년부터 전국의 모든 일반 시민, 청년, 노인, 다자녀·저소득층은 월 55,000~62,000원(광역버스·GTX 포함 옵션은 90,000~100,000원)만 내면 전국 지하철과 버스를 무제한으로 탈 수 있게 됩니다. 즉, 교통비뿐 아니라 이동의 자유까지 넓어지는 셈이에요. KTX와 SRT는 별도이지만, 실제 생활에서는 서울, 경기, 지방 어디서든 동일 요금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종합 교통 복지 시대가 열립니다.2026 전국 패스 요금 및 혜택 요약표
구분 | 월 요금 | 이용 범위 | 지원 한도 | 특징 |
---|---|---|---|---|
일반 | 62,000원 | 전국 지하철·버스 무제한 | 월 200,000원 한도 | 광역버스/GTX 옵션 별도 |
청년/노인/다자녀/저소득층 | 55,000원 | 전국 지하철·버스 무제한 | 월 200,000원 한도 | 광역버스/GTX 옵션 별도 |
광역버스/GTX 포함 | 90,000~100,000원 | 전국 지하철·버스+광역버스·GTX | 월 200,000원 한도 | KTX/SRT 제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