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봉과 실수령액, 왜 차이가 날까
취업을 준비하거나 연봉 협상을 앞둔 직장인들이 가장 먼저 묻는 질문은 “연봉 얼마 받으세요?”예요. 그런데 사실 중요한 건 세전 연봉이 아니라 실제 통장에 찍히는 실수령액입니다. 회사가 제시하는 연봉은 대부분 세전 금액인데, 여기에서 세금과 4대 보험이 빠져나가면 생각보다 큰 차이가 생겨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장기요양보험 같은 항목은 의무적으로 공제되고, 여기에 소득세와 지방소득세까지 붙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소득세는 누진세 구조라서, 소득이 높을수록 세율이 더 가파르게 올라가요. 그래서 연봉 1억 원이라도 실제로는 650만 원 안팎만 월급으로 들어오게 됩니다.청년들이 원하는 희망 연봉과 현실
최근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취업 준비생들의 희망 연봉은 대기업 기준 4,358만 원, 중소기업 기준 3,093만 원이었어요. 평균으로 보면 약 4,140만 원 수준입니다. 그런데 실수령액 기준으로 환산하면 대기업 지원자의 희망치도 연 3,761만 원, 월 313만 원 정도에 불과했습니다. 중소기업 지원자는 월 229만 원 수준이었고요. 즉, 인터넷에서 흔히 말하는 “월 300만 원 받는 직장인”이라는 기준조차 실제로는 달성하기 쉽지 않다는 뜻이에요. 고용시장이 얼어붙은 현실까지 고려하면, 단순히 청년들의 눈높이가 높아서 취업을 꺼린다고만 말할 수는 없습니다.2025 연봉 실수령액표 예시
그럼 구체적으로 2025년 기준 연봉별 세전·세후 월급 차이를 살펴볼까요? 아래 표는 부양가족 1명, 비과세 항목이 거의 없는 상황을 기준으로 한 일반적인 예시입니다.연봉 (세전) | 세전 월급 | 세후 실수령 월급 |
---|---|---|
3,000만 원 | 2,500,000원 | 약 220만 원 |
4,000만 원 | 3,333,333원 | 약 292만 원 |
5,000만 원 | 4,166,667원 | 약 355만 원 |
6,000만 원 | 5,000,000원 | 약 418만 원 |
7,000만 원 | 5,833,333원 | 약 478만 원 |
9,000만 원 | 7,500,000원 | 약 586만 원 |
1억 원 | 8,333,333원 | 약 642만 원 |
왜 이렇게 많이 빠져나갈까? 세금 구조 이해하기
가장 큰 이유는 바로 누진세입니다. 우리나라 소득세율은 소득 구간에 따라 6%에서 최대 45%까지 차등 적용돼요. 예를 들어 연 소득이 5,000만 원을 넘으면 24% 구간으로 올라가고, 8,800만 원을 넘으면 35% 세율이 적용됩니다. 여기에 소득세의 10%를 추가로 내는 지방소득세까지 붙으니, 연봉이 높을수록 세금 부담은 훨씬 커지게 됩니다. 그래서 “연봉이 1억인데도 월 1천만 원을 못 받는다”는 말이 현실이 되는 거예요. 실제 계산해보면 세후 월급 1천만 원을 받으려면 연봉이 약 1억 7천만 원은 되어야 합니다.실수령액을 늘릴 수 있는 방법
세금을 줄이는 방법이 아예 없는 건 아닙니다. 합법적인 절세 전략을 활용하면 실수령액을 조금이라도 늘릴 수 있어요.방법 | 설명 |
---|---|
비과세 항목 활용 | 식대(월 20만 원), 연구비, 출장비 등 일부 항목은 비과세 처리 가능 |
연말정산 공제 | 신용카드 사용액, 의료비, 교육비, 연금저축·IRP 납입액 등으로 세액 공제 |
연금계좌 활용 | 연금저축, IRP는 최대 700만 원 납입 시 높은 세액공제 혜택 |
부양가족 공제 | 배우자·자녀·부모 등 부양가족이 많으면 추가 공제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