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10월, 청년들을 위한 청년도약계좌 신청이 시작됩니다. 만 19세에서 34세 사이 청년이라면 정부의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일 수 있어요. 특히 2025년 12월 이후로는 신규 가입이 종료되고, 내년부터는 새로운 청년미래적금으로 전환될 예정이어서, 장기적으로 목돈을 마련하려는 분들에게는 이번 신청이 매우 중요합니다.
신청 기간
2025년 10월 청년도약계좌 신청은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 항목 | 기간 |
|---|---|
| 가입 신청 | 10월 1일~2일, 10월 10일~17일 |
| 가입 요건 확인 | 9월 20일~10월 31일 |
| 계좌 개설 (1인 가구) | 10월 23일~10월 31일 |
| 계좌 개설 (2인 이상 가구) | 11월 3일~11월 14일 |
신청은 시중 은행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국민·신한·우리·하나·농협·기업 등 대부분의 은행에서 취급합니다. 다만 개천절과 추석 연휴에는 신청과 개설 절차가 진행되지 않으니 반드시 영업일을 확인해야 합니다.
가입 자격
청년도약계좌 가입 자격은 연령과 소득, 가구 소득 기준으로 나뉩니다.
| 조건 | 상세 기준 |
|---|---|
| 연령 | 계좌 개설일 기준 만 19~34세 (군 복무 기간 최대 6년 포함 가능, 만 40세까지 가능) |
| 개인소득 | 총급여 7,5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 |
| 가구소득 | 가구원 수별 중위소득 250% 이하 (예: 1인 6,685만 원, 2인 1억1,047만 원, 4인 1억7,189만 원) |
| 금융소득 | 직전 3년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제외 |
군 복무 중 병역 수당, 육아휴직 수당도 소득으로 인정되므로 해당 청년도 신청 가능합니다.
혜택과 장점
청년도약계좌의 가장 큰 매력은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입니다. 매월 최대 70만 원까지 납입 가능하며, 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에서 추가 지원금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개인소득이 2,400만 원 이하라면 월 최대 3만3천 원의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어요.
또한, 납입 기간과 유지 기간에 따라 추가 혜택도 있습니다.
| 혜택 | 상세 내용 |
|---|---|
| 중도 해지 시 | 3년 이상 유지하면 일부 비과세와 기여금 혜택 유지 |
| 부분 인출 | 2년 이상 유지하면 납입원금 40% 이내에서 가능 |
| 신용평가 가점 | 납입 기간에 따라 최대 5~10점 부여 |
| 금리 효과 | 정부 기여금 + 은행 이자 + 비과세 효과를 합치면 연 최대 9.54% |
청년도약계좌 vs 청년미래적금
청년도약계좌는 5년 장기 적립으로 목돈을 만들고자 하는 청년에게 적합합니다. 반면 2026년 출시 예정인 청년미래적금은 1~3년 단기 저축, 월 최대 50만 원 납입, 매칭 지원금 중심으로 유연성이 높습니다.
| 상품 | 저축 기간 | 월 납입 한도 | 정부 지원 | 유동성 | 적합 대상 |
|---|---|---|---|---|---|
| 청년도약계좌 | 5년 장기 | 월 최대 70만 원 | 기여금 + 비과세 혜택 | 낮음 (중도 해지 불이익) | 장기 목돈 마련 |
| 청년미래적금 | 1~3년 단기 | 월 최대 50만 원 | 매칭 지원금 | 부분 인출 가능 | 단기 생활 안정 |
마무리
올해 10월 청년도약계좌 신청은 사실상 마지막 기회 중 하나입니다. 조건이 맞는다면 이번 기회를 놓치지 않고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신청과 계좌 개설 날짜가 다르다는 점, 공휴일에는 절차가 진행되지 않는 점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세부적인 정부 기여금 계산이나 자격 확인은 서민금융진흥원 공식 홈페이지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코인원 역대급 신규가입 이벤트, 10.4만원 혜택받는법
빗썸 10월 신규가입 이벤트, 7만원 받고 현금화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