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하는 독자는 없을지 모르겠으나, 필자는 1년 전 집에 놀고 있던 윈도우 컴퓨터에 워드프레스 구축했다. 그리고 2024년 3월, 처음으로 구글 애드센스 승인을 신청했다. 그로부터 정확히 1년 뒤, 2025년 4월 23일 드디어 애드센스 승인 통보를 받았다.

이번 글에서는 애드센스 승인까지의 여정, 승인 당시 블로그 상태, 현재 월 방문자 및 수익 정보를 상세히 공유하고자 한다. 이 글이 워드프레스를 시작하려는 이들, 혹은 애드센스 승인을 노리는 이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
워드프레스 애드센스 승인 후기
승인까지 왜 이렇게 오래 걸렸을까?
돌아보면 다음 두 가지 문제점이 가장 컸다고 판단된다.
1. 시행착오(뻘짓)
워드프레스 블로그 운영 자체가 처음이었던 탓에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
- 카테고리를 나눠서 운영하다가 다시 원복
- 다양한 플러그인 설치 및 삭제 반복
- 테마(CSS) 변경 반복

특히 카테고리를 분리했다가 다시 하나로 합친 것이 큰 실수였다. 이는 글 주소(URL) 변경을 초래했고, 구글 서치콘솔에서 기존 인덱싱이 사라지며 검색 노출 글을 몇개 잃었다. 이때 애드센스 봇에게 신뢰도를 잃은 결정적 계기로 추정된다.
2. 오리지널 콘텐츠 부족
초기 콘텐츠는 대부분 네이버 블로그에 먼저 발행한 글을 챗GPT로 말투만 수정한 후 다시 워드프레스에 옮기는 방식이었다. 또는 챗GPT가 생성한 글을 그대로 올린 경우도 있었다. (유튜브 애드센스 무료 강의에서 알려주는 애드센스용 AI 글작성봇을 활용했다)
전체 200개 글 중 오리지널 콘텐츠는 5~10개에 불과했다.

이런 탓인지 항상 “가치가 낮은 콘텐츠”라는 사유로 승인이 거절되었다.
승인될 때는 무엇이 달랐을까?
승인 직전에는 챗GPT 플러스의 ‘심층 리서치’ 기능을 활용해 콘텐츠를 제작했다.

심층 리서치는 챗GPT 플러스 유료 버전에서 제공되는 기능으로, 보다 길고 구조적인 글을 작성할 수 있게 돕는다. 필자는 이 기능을 활용해 작성한 글 2~3개를 발행한 직후 재신청했고, 승인되었다.
위 글이 대표적으로 [심층 리서치]로 발행된 글이다.
구글 애드센스 봇 입장에서는 글이 길고 상세하니 오리지널 콘텐츠로 인식했을 가능성이 높다. 현재 기준으로는, 심층 리서치로 생성된 글은 AI 생성 콘텐츠로 탐지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심층 리서치는 GPT Plus 유료구독자만 사용할 수 있으며, 필자는 [이 포스팅]에서 소개한 방법을 통해 챗GPT 플러스를 월 8,000원대에 이용 중이다.
워드프레스 블로그 수익인증
승인 이후 수익은?

애드센스 승인 이후 일주일간의 수익은 총 5.72달러(약 7,800원)였다. 단순 환산하면 월 약 3만 원 수준의 수익이다.

필자의 워드프레스 블로그는 최근 4주간 총 5,700명의 방문자를 기록했다. 일일 평균 방문자로 따지면 약 200명 수준이다.
단순 계산으로, 일일 방문자가 1만 명이라면 50배니까, 월 150만 원 정도의 수익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로 필자가 운영중인 네이버 블로그의 애드포스트는 일일 1만 방문자일 때 기준으로 수익은 약 30만 원 수준이었다. 즉, 애드센스가 약 5배 정도 높은 수익률을 보인다는 결론이다.
물론 네이버 블로그의 경우 체험단, 협찬 등의 부가 수익이 나쁘지는 않기 때문에 그만둘 생각은 없다.
마무리하며
이번 글에서는 워드프레스로 구글 애드센스를 1년 만에 승인받은 경험을 공유했다. 필자처럼 집에 놀고 있는 컴퓨터를 활용해 무료로 워드프레스를 시작해보고 싶은 분들이라면, 1년 전 필자가 작성한 구축 방법 포스팅을 참고하기 바란다.
(참고: 필자는 유료 강의, 전자책이 없어서 아직 모두 무료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