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T Review 사이트 내의 링크들은 제휴 파트너스 & 어필리에이트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일정 수수료를 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네이버 쇼핑 커넥트 활동의 일환으로, 판매 발생 시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커피에반하다 폐업, 파산 이유와 가맹점주들의 선택은?

커피에반하다 폐업 소식은 저가 커피 시장을 지켜보던 많은 소비자와 예비 창업자에게 충격을 안겼습니다. 한때 ‘착한 가격’ 전략으로 대학생과 직장인들의 사랑을 받았던 브랜드가 결국 파산 선고를 받고 시장에서 퇴출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번 글에서는 폐업 배경, 경쟁에서 밀린 원인, 가맹점주들의 현실적 대응 방안까지 쉽게 풀어드립니다.

커피에반하다의 성장과 몰락

커피에반하다는 2011년 파주에서 1호점을 열고, 2013년 프랜차이즈화에 성공하며 빠르게 매장을 늘렸습니다. 최대 1,300개에 달하는 매장을 운영하며 저가 커피 시장의 ‘원조’ 브랜드로 자리잡았죠. 특히 가맹비·보증금·로열티·인테리어 리뉴얼 비용을 받지 않는 ‘4무 정책’으로 많은 예비 창업자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하지만 2021년 658개였던 매장은 2023년 349개, 2024년 557개로 줄며 활력을 잃었습니다. 2025년 6월 20일에는 결국 법원에서 파산 선고를 받으며 본사 사무실은 문을 닫게 됐습니다.

폐업의 주요 원인

원인 세부 내용
수익성 악화 2023년 영업이익 8억 원 → 2024년 영업손실 18억 원, 순손실 54억 원으로 전환
자본잠식 자본총계 –37억 원, 완전 자본잠식 상태 도달
경쟁 심화 메가커피, 컴포즈커피 등 후발주자들이 공격적 마케팅과 모델 기용으로 시장 장악
전략 실패 무인카페·로봇 바리스타 같은 실험적 모델에 의존했지만 안정적 수익으로 이어지지 못함

경쟁 브랜드와의 차이

메가커피는 손흥민을 모델로 내세우고 2025년 매장 수 3,800개를 달성했습니다. 컴포즈커피는 BTS 뷔를 모델로 기용하며 3,000개 가까운 매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두 브랜드 모두 대규모 마케팅과 공격적인 출점 전략을 통해 소비자의 눈과 발길을 사로잡았던 반면, 커피에반하다는 보수적인 확장과 한정된 브랜드 전략으로 점점 경쟁력을 잃어갔습니다.

가맹점주들의 현실

본사가 파산하면서 가맹계약은 자동으로 유지 불가능해졌습니다. 다만 4무 정책 덕분에 초기 비용 부담이 크지 않았던 점은 불행 중 다행입니다. 이제 점주들은 두 가지 선택지를 두고 고민해야 합니다.

  • 새 간판을 달고 독립 운영 (브랜드 자체 창출)
  • 상표권을 인수한 새로운 주체와 재계약 (커피에반하다 이름 유지)

문제는 후자의 경우 상표권 매각이 원활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입니다. 또한 일부 점포에서는 정산 문제로 본사와 분쟁이 발생했고, 정산 없이 일방적으로 폐업이 진행됐다는 불만도 나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고, 필요시 채권 신고 및 집단 대응을 모색해야 합니다.

창업자에게 주는 교훈

이번 사례는 “착한 가격”만으로는 프랜차이즈 시장에서 살아남기 어렵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저가 커피 시장은 이미 과포화 상태이며, 가격 경쟁력에 더해 브랜드 마케팅, 제품 다양성, 자본력, 재무 건전성까지 갖추지 않으면 지속 가능하지 않습니다.

특히 프랜차이즈 창업을 준비한다면 단순히 가맹비가 저렴하다는 이유로 선택하기보다 다음 요소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본사의 재무 건전성 (적자 여부, 자본잠식 상태 확인)
  • 브랜드 전략과 마케팅 투자 규모
  • 가맹점 지원 체계 (교육, 공급망 안정성, 상생 프로그램 여부)
  • 시장 경쟁력 (타 브랜드 대비 차별성 존재 여부)

정리하며

커피에반하다 폐업은 단순한 한 브랜드의 실패가 아니라, 과열된 저가 커피 시장의 민낯을 보여주는 사건입니다. 가맹점주들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법적 대응과 정부 지원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하고, 예비 창업자는 가격 경쟁만으로는 지속 가능한 성공을 담보할 수 없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주식 투자하기 좋은 모니터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