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적인 투자자 워런 버핏은 최근 두 가지 상반된 행보로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았어요. 하나는 17년간 장기 보유했던 중국 전기차 기업 비야디(BYD) 지분을 모두 매각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미국 석유·가스 기업 옥시덴털의 화학 자회사 옥시켐을 13조 원 규모로 인수한 결정입니다. 버핏의 선택은 단순한 매매가 아니라 글로벌 투자 환경을 읽는 중요한 시그널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저도 이 소식을 접하며, 버핏이 시장을 바라보는 관점을 다시 한번 깊게 생각하게 되었어요.
비야디, 17년 장기투자의 끝
버핏은 2008년, 찰리 멍거의 권유로 비야디 지분 약 10%를 매입했습니다. 당시 투자금은 약 2억 3천만 달러였고, 이후 비야디 주가는 무려 4,500% 이상 상승하며 버크셔 해서웨이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기록됐습니다. 그러나 2022년부터 지분을 조금씩 줄이기 시작했고, 결국 2025년 1분기에 전량 매각을 마쳤습니다.
왜 버핏은 승승장구하던 기업에서 손을 뗐을까요? 공식적인 이유는 밝히지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지정학적 리스크를 가장 큰 요인으로 꼽습니다. 그는 과거에도 대만 TSMC 지분을 팔면서 같은 이유를 언급한 적이 있지요. 또한 중국 전기차 시장이 테슬라, 샤오미, 리샹 등과의 출혈 경쟁에 돌입하면서 비야디의 수익성이 약화된 점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실제로 최근 실적 성장세가 둔화되고, 가격 경쟁이 심화되면서 투자 매력도가 떨어졌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버핏 매각이 불러온 파장
버핏의 매각 결정은 시장에 단순한 매도 이상의 충격을 안겼습니다. 그는 장기 투자와 인내의 아이콘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전량 매각은 곧 “리스크가 커졌다”는 신호로 읽힙니다. 실제로 홍콩 증시에서 비야디 주가는 매각 소식 직후 3.6% 하락하며 단기간 최대 낙폭을 기록했어요.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버핏마저 떠나는 기업”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외국인과 기관 매도세가 이어졌습니다.
| 2024년 전기차 판매 순위 | 판매량(대) |
|---|---|
| BYD | 1,200,000 |
| Tesla | 625,600 |
| BMW | 212,300 |
| Wuling | 179,700 |
| VW | 157,200 |
이 순위를 보면 비야디가 여전히 글로벌 판매량 1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버핏은 미래 경쟁 환경에서 확고한 우위를 유지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듯합니다.
옥시덴털 화학 자회사 인수
비야디 매각과 동시에 버핏은 또 다른 대형 투자를 단행했습니다. 바로 옥시덴털의 화학 자회사 옥시켐 인수입니다. 인수가는 약 97억 달러, 한화로 13조 6천억 원 규모입니다. 옥시켐은 정수용 염소, 건설용 PVC, 배터리 재활용용 가성소다 등 생활 필수 화학 제품을 생산하는 안정적인 기업이에요. 매출도 2025년 상반기에만 24억 달러를 기록했고, 매 분기 수억 달러의 이익을 꾸준히 내고 있습니다.
옥시덴털이 이 회사를 매각한 이유는 부채 감축입니다. 2019년 대형 인수와 2023년 추가 인수로 인해 재무 부담이 커지자, 65억 달러를 빚 상환에 쓰기 위해 옥시켐을 팔 수밖에 없었던 것이죠. 반면 버핏 입장에서는 변동성이 큰 석유 대신 안정적인 현금 창출 자산을 얻는 계산이었습니다.
버핏의 메시지
버핏은 CNBC 인터뷰에서 “BYD는 훌륭한 회사지만, 그 돈으로 더 만족스러운 투자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이 발언은 승자 독식 기업이라 해도 리스크가 커지면 미련 없이 떠나는 원칙을 보여줍니다. 동시에 옥시켐 인수는 단순히 돈을 쌓아두는 것이 아니라,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창출할 자산으로 재배치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결국 이번 두 가지 행보는 투자 철학의 일관성을 보여줍니다. 성장 스토리만 보고 붙잡는 것이 아니라, 위험이 커지면 매도하고, 새로운 현금 창출 기회를 찾아가는 것이죠. 저 역시 이 과정을 보면서 “생활 속 체감과 투자자의 냉정한 판단은 이렇게 다를 수 있구나”라는 점을 크게 느꼈습니다.
투자자에게 주는 교훈
버핏의 이번 결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교훈은 명확합니다. 첫째, 기업의 성장성과 시장 점유율만 보지 말고, 지정학적 리스크와 경쟁 구도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는 점. 둘째, 장기 보유라 하더라도 언제든 매도할 수 있는 원칙을 가져야 한다는 점입니다. 셋째, 자산을 단순히 보유하는 것보다 현금 흐름을 창출할 수 있는 곳에 재투자해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저는 이번 사례가 단순한 투자 이벤트가 아니라, 개인 투자자들에게도 중요한 기준을 던져줬다고 생각합니다. 시장의 화려한 스토리 뒤에 숨은 위험을 직시하고, 냉정한 판단을 내리는 것이 결국 장기적으로 살아남는 길이라는 사실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어요.
빗썸 10월 신규가입 이벤트, 7만원 받고 현금화하는 방법
코인원 역대급 신규가입 이벤트, 10.4만원 혜택받는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