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게시물은 일부 제휴 링크를 포함하여 일정액의 수수료를 지급받습니다.

상생페이백, 30만원 받는 공식 공개

이번 시간에는 상생페이백 혜택을 받기 위해 어디서 어떻게 써야 실익이 커지는지를 정리했습니다. 끝까지 읽으면 ‘내가 받을 수 있는 금액’을 바로 계산할 수 있어요.

목차

핵심 포인트: 작년보다 더 쓴 오프라인 동네결제의 20%

상생페이백은 2025년 9~11월에 쓴 카드금액 중 인정되는 결제에서, 2024년 월평균 대비 증가분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돌려주는 구조입니다. 월 10만 원, 3개월 누적 최대 30만 원이 상한이에요.

대상과 기간: ‘2024년 카드 실적’ 있는 만 19세+

만 19세 이상(국내 거주 외국인 포함)이고, 2024년 국내 카드 사용 이력이 있으면 신청 가능합니다. 한 번 신청하면 9~11월 실적이 자동 반영돼요. 가족·법인카드는 제외, 본인 명의 카드만 인정됩니다.

얼마를 받나: 계산법

원리는 단순하지만 착시가 생기기 쉬워요. 전체 카드사용이 아니라 ‘인정 업종’만 실적으로 계산합니다. 아래 표를 먼저 보세요.

아래 표는 증가분 계산 방식을 한눈에 보여줍니다.

상황계산 예시(원리)
작년 월평균 100만, 금월 인정결제 150만증가 50만 × 20% = 10만 환급(월 상한 도달)
작년 월평균 120만, 금월 인정결제 110만증가 없음 → 환급 0
작년 월평균 80만, 금월 인정결제 120만증가 40만 × 20% = 8만 환급

핵심은 “인정되는 결제만 비교한다”는 점이에요. 대형마트·온라인·배달앱처럼 제외된 결제를 많이 써도 환급에는 반영되지 않습니다.

인정·제외 업종: ‘어디서 썼는가’가 결정한다

소상공인·전통시장·동네가게에서의 오프라인 결제가 중심입니다. 매번 헷갈리는 부분이라 표로 요약합니다.

인정 가능 예제외 예
전통시장, 동네 식당·카페, 미용실, 동네 슈퍼대형마트·백화점·아울렛, 면세점, 온라인몰·배달앱
영세·중소상공인 가맹점의 현장 단말 결제세금·공과금·관리비, 병원·약국, 키오스크/테이블오더 등 비대면

경계선에 있는 가게는 단말기 가맹업종 분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현장 단말에 카드 꽂아 결제가 안전합니다.

신청 5분 루트: 누리집 → 본인인증 → 카드 연동

공식 누리집에 접속해 공동·휴대폰·간편인증으로 본인확인을 마치고, 카드사 연동에 동의하면 끝입니다. 한 번 신청하면 3개월 자동 반영이라 재신청이 필요 없어요. 고령자·디지털 취약층은 전통시장 상인회, 지자체·은행 창구에서 오프라인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언제 들어오나

사용월의 다음 달 15일에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됩니다. 9월분은 10/15, 10월분은 11/15, 11월분은 12/15 순서예요. 유효기간은 길고(통상 5년 수준), 전통시장·동네가게에서 QR 또는 카드처럼 결제할 수 있습니다.

실전 팁: ‘증가분 만들기’와 ‘분산 쓰기’

첫째, 온라인 중심 소비를 동네 오프라인으로 옮겨야 증가분이 살아납니다. 배달앱 대신 매장 결제, 대형마트 대신 시장·동네슈퍼를 활용하세요. 한 달 50만 원만 인정업종으로 더 쓰면 환급 10만 원에 도달합니다.

둘째, 월별 상한이 있으니 9~11월에 분산해 쓰면 손실이 없습니다. 9월에 과도하게 몰아 써도 10만 원이 상한이라 그 이상은 환급에 기여하지 않아요.

셋째, 가족카드 사용 비중이 높다면 본인카드 결제로 전환해야 실적이 잡힙니다. 현장에서 단말기로 결제했는지, 비대면으로 처리됐는지도 확인하세요.

꿀팁 : 미용실 선결제, 운동(필라테스, 헬스 PT 등) 아이 학원 선결제를 이용하면 손쉽게 채울 수 있습니다.

누가 유리할까: 패턴별 체감

작년 오프라인 소상공인 결제가 적고, 올해 9~11월에 동네가게를 자주 이용할 계획이 있는 분이 유리합니다. 반대로 작년 이미 많이 쓴 분, 온라인·대형 유통 위주 소비 패턴이라면 체감이 낮을 수 있어요. “작년 대비”라는 기준 때문에 출발선이 사람마다 다릅니다.

리스크 체크: 과소비 유도, 인정누락

할인·환급에만 매달리면 불필요한 지출이 늘 수 있습니다. 필요한 소비를 오프라인 동네결제로 옮기는 전략이 기본이에요. 또 가맹업종 분류·결제방식에 따라 인정누락이 발생할 수 있으니 첫 달엔 소액으로 테스트하고, 누리집·카드사 앱의 예상·집계 내역을 자주 확인하세요. 인정항목만 늘어야 환급이 늘어난다는 원칙을 끝까지 잊지 마세요.

마무리: 내 월별 목표액만 정해두자

결론은 간단합니다. ① 누리집에서 신청·기준 확인 ② 내 작년 월평균 대비 목표 증가액 설정 ③ 9~11월에 동네가게 오프라인 결제 집중 ④ 다음 달 15일 지급 확인. ‘쓸 곳을 바꾸면’ 체감이 생기고, ‘과소비 없이 분산’하면 손실이 없습니다. 일상 장보기·식사·미용처럼 필수지출을 옮기는 것만으로도 최대치에 근접할 수 있어요.

빗썸 10월 역대급 신규 이벤트, 내돈 0원으로 비트코인 7만원 받는법
유튜브 ‘공유 구독’ 괜찮을까? 겜스고 1년 써보고 느낀 장단점 솔직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