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T Review 사이트 내의 링크들은 제휴 파트너스 & 어필리에이트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일정 수수료를 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네이버 쇼핑 커넥트 활동의 일환으로, 판매 발생 시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모바일 신분증 무료 발급 방법 & 어플 사용법

모바일 신분증 써보셨나요?

요즘에는 단순히 술집, 병원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넘어서서,

각종 은행 앱이나 증권사 어플에서 요구하는 신분증 사진까지 대체해주더라고요.

사실 제가 최근에 우리은행 앱에서 모바일 OTP를 발급받을 일이 있었는데요.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받은 덕분에 실물 신분증 없이도 인증이 가능했어요.

대신 안면인증은 해야하고, 인식률이 좋진 않더라고요.

3번정도 재촬영하니 안면인증이 완료되었습니다.

그래도 이제 실물 신분증이 없어도 저를 인증할 수 있어서 편하더라고요.

이번 시간에는 [모바일 신분증] 어플 개요와 사용법, 무료 발급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모바일 신분증이란?

  • ✅ 스마트폰에 발급되는 디지털 신분증
  • ✅ 실물 신분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
  • ✅ 병원, 은행, 공공기관, 편의점, 투표소 등 오프라인에서 전부 사용 가능
  • ✅ 요즘은 [은행 앱, 증권 앱] 등 온라인 사용처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

모바일 신분증 발급 방법은?

모바일 신분증 발급 방식은 2가지가 있어요.

구분IC 주민등록증 방식QR코드(무IC) 방식
장점– 휴대폰 분실·교체 시 재방문 없이 재발급 가능
– 보안성 높음 (IC칩 + NFC 태깅)
– 장기적으로 사용이 더 편리함
– IC카드 없이도 발급 가능 (접근성 높음)
– 수수료 없음 (완전 무료)
– 주소지 무관, 전국 어디서나 발급 가능
단점– 발급 비용 1만 원 발생
– IC카드 미보유자는 별도 신청 및 수령 필요
– 초기 절차가 다소 번거로움
– 유효기간(3년) 지나면 재방문 필수
– 휴대폰 분실/변경 시 재발급 번거로움
– 관리 및 갱신 과정이 불편할 수 있음
특징 요약IC카드만 있으면 언제든 재발급 가능
재방문 없이도 유지/갱신 가능
실물 신분증만 있으면 당일 즉시 발급
초기 사용은 쉽지만 관리가 번거로움
수수료1만 원 (※ 17세 최초 발급은 무료)없음 (완전 무료)
발급 장소인터넷으로 발급 & 주민센터에서 수령
집에서 IC카드 태깅
주민센터에서 발급
재발급 편의성매우 높음 (IC카드만 있으면 언제든 가능)낮음 (재방문 필수)
보안 수준고보안 (IC칩 + NFC 활용)일반 수준 (안면 인증 위주)

두가지 방식 모두 행정복지센터(동사무소)에 한번은 들려야합니다.

다만, QR코드 방식은 핸드폰 교체 시 다시 들려야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어요.

뭐로 발급받는게 좋을까?

상황추천 방식
자주 휴대폰 바꾸는 분IC 방식 (재발급 편함)
발급 비용 없이 빨리 쓰고 싶은 분QR코드 방식
고보안/장기 사용을 원하는 분IC 방식
IC카드가 없고, 당장 필요한 분QR코드 방식

참고로 저는 비용이 들지 않는 QR코드 방식으로 발급받았습니다.

모바일 신분증 무료 발급방법 (QR코드)

제가 등록했던 QR코드 무료 발급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준비물

준비물은 주민등록증을 챙겨야해요.

참고로 ‘운전면허증’은 안됩니다.

제가 처음에 운전면허증 들고 갔다가 발급 못하고 돌아왔어요.

발급절차

발급 절차는 매우 간단해요.

동사무소 들어가서 번호표를 발급받고 창구로갑니다.

가서 모바일 신분증 발급받으러 왔다고 하면 신분증을 달라고 하구요.

아래 문서를 작성하라고 합니다.

문서를 작성하고 [모바일 신분증] 어플을 켜서 직원에게 주면 1분내로 발급이 완료됩니다.

이제 모바일 신분증 앱을 켜보면 [주민등록증]이 앱 안에 들어와있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온라인은 물론이고, 병원이나 편의점, 술집같은 오프라인에서도 신분증으로 효력을 인정받습니다.

그저 앱을 켜서 직원에게 보여주면 끝이에요.

이제 지갑에서 신분증을 빼주세요.

마무리

이번 시간에는 모바일 신분증 어플 사용법과 무료 발급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