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로페이는 대구시에서 운영하는 지역사랑상품권이에요. 최근 2025년 9월부터 할인율이 기존 7%에서 13%로 상향되면서 시민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단순한 결제 수단을 넘어 생활비 절약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돕는 제도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대구로페이의 사용처, 할인 혜택, 발급 및 충전 방법까지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대구로페이 핵심 혜택
대구로페이의 가장 큰 매력은 충전만으로 곧바로 절약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점이에요.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충전은 그대로 100% 충전되지만 실제 결제 시 지불액이 할인 적용된 금액으로 줄어든다는 구조입니다.
충전 금액 | 실제 결제 금액 | 절약 금액 |
---|---|---|
50만 원 | 43만 5천 원 | 6만 5천 원 |
100만 원 | 87만 원 | 13만 원 |
여기에 공공 배달앱 ‘대구로’에서 결제하면 추가 5%까지 절약이 가능해요. 즉, 최대 18%까지 체감 할인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대구로페이 발급 방법
1. 모바일 카드
- iM샵 앱에서 본인 인증 후 즉시 발급
- 삼성페이, 구글페이에 등록해 간편결제로 사용 가능
2. 실물 카드
- 대구 아이엠뱅크 영업점 방문
- 만 14세 이상 신분증 지참 시 발급 가능
- 스마트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도 편리하게 이용 가능
충전 방식과 한도
충전은 매일 오전 0시 15분부터 가능하며, 예산이 소진되면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 8월, 할인율이 7%였던 시기에도 예산이 25일 만에 모두 소진되었어요. 이번에는 13%라는 높은 할인율 덕분에 더 빠르게 소진될 가능성이 큽니다.
구분 | 내용 |
---|---|
월 구매 한도 | 50만 원 |
보유 한도 | 100만 원 |
발행 규모(9월) | 약 3,180억 원 |
즉, 8월에 50만 원을 충전했다면 9월에도 추가로 50만 원 충전이 가능해요. 가족 구성원마다 각각 충전하면 절약 효과는 더욱 커집니다.
대구로페이 사용처
그렇다면 대구로페이는 어디에서 사용할 수 있을까요? 기본적으로 연 매출 30억 원 이하 소상공인 가맹점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 가능 업종 | 사용 불가 업종 |
---|---|
전통시장(서문·칠성·동대구시장), 동네마트, 개인 편의점, 음식점, 카페, 병원, 약국, 안경점, 학원, 독서실, 미용실, 세탁소 등 | 백화점, 대형마트(이마트·홈플러스 등), 프랜차이즈 직영점, 주유소, 유흥업소, 사행 업종, 온라인 쇼핑몰, 골프장 등 |
생활 밀착형 업종에서 폭넓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장보기부터 학원비, 병원비까지 실질적인 지출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같은 브랜드라도 ‘가맹점’은 가능하지만 ‘직영점’은 불가한 경우가 있으니 현장 스티커나 앱에서 가맹점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추가 절약 전략
- 자주 이용하는 학원비, 병원비, 장보기가 사용처에 해당되는지 먼저 확인
- 가족 단위로 각자 월 충전 한도를 나눠 충전해 절약 효과 극대화
- 배달앱 대구로를 자주 사용하면 추가 5% 할인 꾸준히 확보
- 잔액 및 충전 현황은 iM샵 앱에서 실시간 확인 가능
지역경제 효과
대구로페이는 단순히 개인의 생활비 절약을 넘어, 지역 내 소상공인 매출을 높이는 상생 정책이기도 합니다.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전통시장과 동네 상권은 활기를 띠게 되고, 대구 경제 전반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확산됩니다. 즉, 소비자와 소상공인이 모두 이득을 보는 구조라는 점에서 의미가 커요.
마무리
지금까지 대구로페이의 사용처, 13% 할인 혜택, 발급 및 충전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할인율이 높아진 만큼 예산 소진 속도도 빠를 수 있으니 필요한 경우 미리 충전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생활비를 절약하면서 지역경제에도 기여할 수 있는 대구로페이, 알뜰한 소비 전략으로 활용해 보시길 권장드립니다.
주식 투자하기 좋은 모니터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