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광고 포함

기초연금과 노령연금 동시 수령 조건과 감액 기준 완벽 정리

노후 준비에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 중 하나가 바로 ‘연금’이에요. 그중에서도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시는 제도가 기초연금과 노령연금입니다. 둘 다 65세 이후 생활을 지원해주는 제도이지만 성격과 지급 조건, 그리고 동시에 받을 때의 규칙이 달라요.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기초연금과 노령연금을 어떻게 함께 받을 수 있는지, 감액 기준은 무엇인지, 그리고 실제 사례까지 꼼꼼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목차

기초연금과 노령연금, 무엇이 다를까?

먼저 두 제도의 성격부터 구분할 필요가 있어요. 기초연금은 복지 성격이 강한 제도로, 일정 소득과 재산 기준 이하의 만 65세 이상 어르신에게 지급됩니다. 반면, 노령연금은 국민연금에 최소 10년 이상 가입해 보험료를 낸 사람에게 지급되는 사회보험 제도입니다.

구분 기초연금 노령연금
성격 복지제도 (소득·재산 심사 O) 사회보험제도 (보험료 납부 이력 기반)
수급 연령 만 65세 이상 출생연도별 지급개시연령(62~65세)
자격 요건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
(단독 228만원, 부부 364.8만원)
가입기간 10년 이상
지급액 2025년 최대 342,510원 가입기간·보험료·소득에 따라 개인별 차이

기초연금 수급 조건과 신청 시기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이라도 자동으로 지급되지 않아요. 반드시 신청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시기도 중요합니다. 생일이 속한 달의 한 달 전 1일부터 신청할 수 있는데, 이 시기를 놓치면 첫 달 분이 지급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생일 전 달 1일을 달력에 표시해 두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에요.

자격 기준은 단독가구 월 소득인정액 228만 원 이하, 부부가구 364만 8천 원 이하입니다. 소득인정액은 단순한 월급뿐 아니라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까지 합산한 수치이니 주의해야 합니다.

노령연금 수급 조건

노령연금은 국민연금에 10년 이상 가입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급 개시 연령은 출생연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1969년 이후 출생자는 65세부터 수령 가능해요. 노령연금의 금액은 개인의 가입기간, 납부 보험료, 그리고 소득 수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됩니다.

두 연금 동시에 받을 수 있을까?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부분이 바로 기초연금과 노령연금의 동시 수령이에요. 원칙적으로는 두 연금을 동시에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노령연금이 많으면 기초연금이 줄어드는 연계 감액 규칙이 적용돼요.

2025년 기준으로 국민연금에서 매달 받는 금액이 513,760원을 넘을 경우 기초연금이 일부 감액될 수 있습니다. 이때 핵심은 국민연금액 중 ‘A급여’(소득재분배급여)가 일정 금액(256,880원)을 초과할 때 감액이 본격적으로 발생한다는 점이에요.

부부 동시 수급 시 20% 감액

부부가 동시에 기초연금을 받는 경우 각자의 지급액이 20%씩 줄어듭니다. 이는 주거비, 난방비 등 공동생활로 절약되는 부분이 있다는 점을 제도 설계에 반영한 것이에요. 하지만 실제로는 소득이 적은 부부 가구에서 체감 부담이 크다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유족연금과의 관계

만약 배우자가 사망해 유족연금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이라면, 본인의 노령연금과 동시에 100%를 받을 수는 없습니다. 대신 두 가지 선택지가 있어요. 본인 노령연금을 선택하면 유족연금의 30%를 더 받을 수 있고, 반대로 유족연금을 선택하면 그 금액만 전액 받게 됩니다. 보통은 본인 노령연금이 클 경우 30%를 더해 받는 쪽이 유리합니다.

실제 사례로 보는 수급액

사례 조건 결과
A 어르신 단독가구, 국민연금 52만 원 수령 기초연금 감액 없음 → 342,510원 전액 수령 가능
B 어르신 단독가구, 국민연금 60만 원 수령 기초연금 일부 감액 → 약 513,760원 수준에서 조정
부부 C씨 부부 모두 기초연금 수급자 각자 20% 감액 적용

신청 절차와 확인 방법

기초연금은 주민센터, 행정복지센터, 국민연금공단 지사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복지로’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으로도 신청 가능합니다. 노령연금은 국민연금공단에서 지급 개시 연령에 도달했을 때 신청하면 됩니다.

연금 감액 여부는 국민연금공단이나 보건복지부 복지로 사이트에서 모의 계산을 통해 미리 확인할 수 있어요. 실제 지급액은 개인별 소득, 재산, 가입이력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미리 계산해보는 것이 꼭 필요합니다.

기억해야 할 핵심 포인트

  • 생일 전 달 1일에 기초연금을 신청해야 첫 달부터 받을 수 있습니다.
  • 선정기준액은 단독 228만 원, 부부 364만 8천 원으로 기억하세요.
  • 부부가 함께 수급할 경우 20% 감액이 적용됩니다.
  • 국민연금이 월 513,760원을 초과하면 기초연금이 일부 줄어듭니다.
  • 연금 지급일은 매월 25일 전후라는 점도 기억해두세요.

마무리

결국 기초연금과 노령연금은 각각 다른 성격을 가진 제도지만, 함께 활용하면 노후 생활을 든든하게 지탱해줍니다. 다만, 감액 규칙과 신청 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몇 가지 숫자만 기억해두면 복잡해 보이는 제도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228만 원(단독 기준선), 342,510원(기초연금 최대액), 513,760원(감액 눈금), 그리고 20%와 30% 규칙. 이 다섯 가지만 머릿속에 넣어두면 대부분의 상황에서 판단이 가능해요.

고령화 사회가 더 빠르게 진행될수록 이런 제도는 점점 더 세밀해지고 복잡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부터라도 본인이 받을 수 있는 연금액을 미리 계산하고, 신청 시기를 챙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주식 투자공부하기 좋은 갤럭시북4 70만원대 노트북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