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T Review 사이트 내의 링크들은 제휴 파트너스 & 어필리에이트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일정 수수료를 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네이버 쇼핑 커넥트 활동의 일환으로, 판매 발생 시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국민연금 해외주식 손실·포트폴리오 전략 총정리

국민연금 1분기 성적표, 왜 부진했나?

국민연금공단은 2025년 1분기에 0.87%라는 다소 저조한 수익률을 기록했어요. 전체 운용 수익은 약 10조 6천억 원 규모였는데, 국내 주식에서 +4.97%라는 양호한 성과를 거뒀음에도 해외 주식에서 -1.56% 손실을 본 것이 발목을 잡았습니다. 달러 약세와 미·중 관세 갈등 여파로 미국 증시가 혼조세를 보였던 것이 주요 원인이었어요. 결과적으로 작년 말 대비 적립금은 14조 원 늘어난 1,227조 원을 기록했지만, “해외 투자 확대 전략이 맞는 걸까?”라는 의문이 제기되는 상황입니다.

국민연금, 왜 해외 투자 비중을 늘렸을까?

사실 2024년 말까지만 해도 상황은 정반대였어요. 국내 증시는 부진한 반면 미국 증시는 강세였죠. 이에 국민연금은 국내 주식과 채권 비중을 줄이고 해외 주식과 채권 비중을 늘리는 포트폴리오 조정을 단행했습니다. 하지만 2025년 들어 달러 가치가 약세로 돌아서면서 환차손이 발생했고, 미국 증시는 관세 리스크로 흔들렸습니다. 결국 “해외에서 돈을 벌어오겠다”는 전략이 예상치 못한 시장 환경에 부딪힌 셈이에요.

국민연금 해외주식 포트폴리오, 어떻게 구성돼 있을까?

국민연금은 세계 3대 연기금 중 하나로 글로벌 금융시장에도 막대한 영향을 줍니다. 해외 주식 비중은 약 35%로 상당히 높은데요. 최근 공개된 포트폴리오 변동 현황을 보면 흥미로운 특징들이 있습니다.
보유 확대(매수) 보유 축소(매도)
애플, 아마존, 테슬라, 구글A, JP모건, 비자 엔비디아, 메타, 브로드컴, 존슨앤존슨, 일라이릴리
엑손모빌, 코스트코, P&G, 홈디포, 애브비 월마트, 알파벳C, 오라클, 마스터카드
즉, 일부 고평가된 빅테크 종목에서 차익을 실현하면서도 여전히 성장성이 높은 애플·아마존·테슬라 같은 기업은 늘렸습니다. 동시에 금융·에너지·소비재·헬스케어 등 경기 방어적 섹터 비중을 확대하며 안정성을 강화하는 모습이에요.

WhaleWisdom으로 보는 국민연금의 선택

국민연금 해외주식 매매 내역은 미국 금융감독청(SEC)에 보고되는 자료를 기반으로 한 ‘WhaleWisdom’이라는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곳을 보면 초고수 투자자처럼 국민연금이 어떤 종목을 사고팔았는지, 또 어떤 종목을 장기 보유하는지 알 수 있어요. 예를 들어 2025년 2분기 매수 상위 종목에는 넷플릭스, 아마존, 테슬라, 애플 등이 포함됐습니다. 반대로 매도 상위에는 유나이티드헬스그룹, 일라이릴리, 엔비디아, 팔란티어 등이 있었어요. 주목할 점은 국민연금이 상위 보유 종목을 평균 5년 이상 꾸준히 가져간다는 사실입니다. 이는 단기 매매보다는 장기 보유 전략을 통해 안정적인 성과를 추구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해외 투자 성과와 국민연금의 고민

국민연금의 해외 투자 확대는 장기적으로는 분명 필요합니다. 한국 시장 규모만으로는 기금 운용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환율, 무역 갈등, 글로벌 경기 둔화 등 외부 변수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이번 1분기처럼 달러 약세가 이어진다면 환차손이 반복될 수 있고, 빅테크 기업의 고평가 논란도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외 투자를 줄일 수도 없는 상황이라, 결국 국민연금은 “어떤 종목을 선택하느냐, 어떻게 분산하느냐”가 더 중요해졌습니다.

투자자들이 참고할 만한 포인트

개인 투자자 입장에서도 국민연금의 포트폴리오는 좋은 벤치마킹 자료가 됩니다. 국민연금은 단기 이슈보다 장기적인 성장성과 안정성을 기준으로 종목을 선택하는데요. 예를 들어 엔비디아나 메타에서 일부 차익을 실현하면서도 여전히 애플, 아마존, 테슬라를 늘린 점은 “성장주는 완전히 버리지 않고 균형 있게 가져간다”는 메시지를 줍니다. 또한 JP모건, 비자, 엑손모빌, 코스트코 같은 안정적 현금흐름 기업을 늘린 것도 포트폴리오 다변화 차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정리하며

2025년 1분기 국민연금은 해외 주식 손실로 0.87%라는 낮은 수익률을 기록했지만, 그 이면에는 글로벌 시장의 복잡한 변수들이 작용했습니다. 빅테크 차익실현, 방어 섹터 강화, 장기 보유 전략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정리할 수 있어요. 결국 국민연금의 투자 행보는 단순한 단기 성적보다 장기적인 자산 배분 전략을 염두에 둬야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개인 투자자에게도 이는 중요한 교훈을 줍니다. 단기 변동성에 흔들리기보다 좋은 기업을 골라 장기 보유하고, 동시에 포트폴리오를 분산하는 것이 안정적인 투자로 이어진다는 점이죠. 주식 투자하기 좋은 모니터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