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광고 포함

고급주택 기준과 취득세 중과세, 꼭 알아야 할 세금 포인트

고급주택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단순히 ‘비싼 집’을 떠올리기 쉽지만, 세법상 기준은 생각보다 훨씬 복잡합니다. 가격만 높다고 무조건 고급주택으로 분류되는 것은 아니고, 면적, 시설, 구조 등 일정한 요건을 충족해야만 고급주택으로 지정돼요. 중요한 건, 한 번 고급주택으로 분류되면 취득세와 보유세가 크게 늘어난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주택을 매입하거나 건축할 계획이 있다면 반드시 기준을 확인해야 해요.

목차

고급주택의 정의

세법상 고급주택은 사치성 재산을 억제하기 위해 도입된 개념이에요. 시가표준액(공시가격)과 면적, 시설 요건 중 일부를 충족할 경우 고급주택으로 분류됩니다. 일반 주택보다 세금이 높게 부과되므로 기준을 정확히 아는 게 중요합니다.

고급주택으로 분류되는 주요 기준

고급주택 기준은 크게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기준 세부 내용 추가 요건
연면적 단독주택 331㎡ 초과, 공동주택 245㎡ 이상(복층형 274㎡) 공시가격 9억 원 초과 시
대지면적 662㎡ 초과 공시가격 9억 원 초과 시
엘리베이터 200kg 초과 엘리베이터 설치 단독주택에 한함
특수시설 67㎡ 이상 수영장 또는 에스컬레이터 설치 공시가격 9억 원 초과 기준 면제
가격 기준 공시가격 9억 원 이상 다른 조건과 함께 고려

예를 들어 60평(약 198㎡)짜리 아파트라고 해서 자동으로 고급주택이 되는 건 아니에요. 다만 면적이 크고, 여기에 수영장 같은 특수시설이 있거나 공시가격이 9억 원을 넘는다면 고급주택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고급주택 세금, 얼마나 차이 날까?

고급주택은 취득세부터 재산세, 종합부동산세까지 일반 주택과 비교해 부담이 훨씬 큽니다.

세목 일반 주택 고급주택 차이
취득세 3% 11% (기본세율+8%p) 8%p ↑
재산세 공시가 6억 → 약 150만 원 공시가 12억 → 약 400만 원 2배 이상 ↑
종부세 공시가 12억 초과 시 과세 대부분 과세 대상, 세율도 중과 세부담 상한 더 높음

예를 들어 10억 원짜리 주택을 매입할 때, 일반 주택이면 취득세가 약 3,000만 원인데 고급주택으로 분류되면 1억 1,000만 원을 내야 합니다. 무려 8,000만 원의 차이가 발생하는 셈이죠.

고급주택으로 분류될 때 주의해야 할 점

  • 공시가격 확인: 단순 시세가 아니라 과세 표준인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합니다.
  • 시설 유무: 수영장·엘리베이터 등 특수 시설이 있으면 면적·금액 요건을 충족하지 않아도 고급주택으로 분류될 수 있어요.
  • 세금 폭탄 위험: 취득세는 물론 보유세도 급증하므로 자금 계획이 필수입니다.
  • 전문가 상담: 법령 해석이나 적용은 복잡하므로 세무사·부동산 전문가와 확인하는 게 안전합니다.

왜 이렇게 엄격한 기준을 두는가?

고급주택 제도는 1975년부터 사치성 소비 억제를 목적으로 도입됐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단순한 규제가 아니라 조세 형평성과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한 수단으로 자리 잡았어요. 정부 입장에서는 과도한 부의 집중을 억제하고 세수를 확보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다만, 실수요자 입장에서는 세금 부담이 과도하다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정리

고급주택은 단순히 “비싼 집”이 아니라, 면적·가격·시설이라는 구체적 기준을 충족할 때 세법상 분류됩니다. 한 번 고급주택으로 지정되면 취득세와 보유세가 급격히 늘어나므로, 매입 전 반드시 기준을 확인해야 해요. 특히 수영장이나 엘리베이터 같은 특수시설은 예기치 못하게 고급주택 분류로 이어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고급주택 여부는 세금 수천만 원 차이를 만들 수 있는 중요한 기준입니다.

부동산 투자공부하기 좋은 갤럭시북4 70만원대 노트북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