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갤럭시탭을 구매하려는데 Wi-Fi, 5G 모델 중 뭘 살지 고민되시나요? 저도 예전에 같은 고민을 했어요. 저는 태블릿을 여러개 써보며 5G도 사용해보고 WiFi 모델도 사용해봤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집·사무실 위주로 사용할 지, 여행지나 대중교통 등으로 이동 중에도 사용하는지만 생각해보면 선택이 훨씬 쉬워집니다. 아래 표로 결론을 먼저 드리고, 실제 사용할 때 어떻게 사용성이 차이가 났었는지 이어서 제 경험을 풀어드릴게요.
결론부터
무게 같은 하드웨어 스펙은 두 모델이 거의 같지만, 가격, 연결 방식, 월 통신비에서는 차이가 납니다.
| 항목 | Wi-Fi 모델 | 5G 모델 |
|---|---|---|
| 출시가(S11 128GB 기준) | 999,000원대 | 1,218,800원대 |
| 무게/크기 | 약 469g / 253.8×165.3×5.5mm | 약 471g / 동일 |
| 디스플레이/칩 | 11″ Dynamic AMOLED 2X 120Hz / Dimensity 9400+ (동일) | |
| 배터리/충전 | 8,400mAh / 최대 45W (동일) | |
| 연결성 | Wi-Fi만 사용 가능 테더링(핫스팟) 필요 | 5G(sub-6) 단독 통신 + eSIM/물리 심 + WiFi 사용 가능 |
| 월 데이터 비용 예시 | 추가비용 없음 | 알뜰 5G 110GB 기준 월 1.5만 원대 |
| 추천 대상 | 집·카페·회사 위주 사용 | 이동 하며 사용하는 경우 |
요약하면 출고가 차이는 약 20만 원대, 월 사용료는 0원(테더링) vs 월 1.5~2만 원대(알뜰 5G)로 갈립니다.
글을 쓰는 현재시점 기준 가격차이는 18만원정도 차이가 나고 있어요. (네이버 넾다세일 적용가 기준 Wifi 87만원대 / 5G 105만원대) 참고로 할인 프로모션 기간에는 가격차이가 작아지다가 프로모션이 끝나면 다시 20만원대로 격차가 벌어지니 아래 링크에서 직접 현재 가격을 확인해보세요.

핵심 차이 ① ‘연결 편의’
Wi-Fi 모델도 스마트폰에서 핫스팟(=테더링)만 켜면 어디서든 쓸 수 있어요. 그러나 스마트폰 ‘무제한 요금제’를 사용하더라도 테더링 데이터는 제한이 있을 가능성이 높으니 한달에 몇GB까지 테더링을 쓸 수 있는 지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아요.
단점을 몇가지 짚어보면, 스마트폰에서 5G를 테더링하더라도 한번 스마트폰을 거쳐가는 터라 속도가 줄어듭니다. 그리고 테더링 시 스마트폰의 배터리가 빨리단다는 점, 스마트폰의 핫스팟을 안쓰고있을 땐 자동으로 비활성화되기 때문에 쓰고싶을 때마다 핫스팟을 활성화시키고 WiFi를 잡아줘야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어요.
반면, 반대로 5G 모델은 전원만 켜면 바로 온라인입니다. 실시간 회의, 원격 접속, 클라우드 드로잉처럼 연결 지연이 곧 손실인 작업이라면 5G가 체감 효율을 확 끌어올립니다.
핵심 차이 ② ‘총소유비용(TCO)’
5G를 사면 기기값도 올라가고 회선도 하나 더 유지해야 해요.
| 통신사 | 요금제명 | 월 요금 (원) |
|---|---|---|
| LG유플러스 | 4GB + 데이터 나눠쓰기 | 22,000 |
| 6GB + 데이터 나눠쓰기 | 33,000 | |
| 10GB | 16,500 | |
| 20GB | 24,750 | |
| 25GB 일 +2GB 추가 | 65,890 | |
| KT | 3GB 제공 | 19,800 |
| SKT | 10GB 제공 | 26,400 (부가세 포함) |
참고로 스마트폰과 태블릿 데이터를 공유하는 요금제를 추가로 구매하면 월 2만원정도는 듭니다.
다행히 알뜰 5G, LTE 요금제가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저렴해지긴 했어요. 100GB에 1만 원대 같은 선택지가 있어 업무·학습용으로 충분한 용량을 저렴하게 운용 가능해진 상황이긴 해요.

그럼에도 돈이 추가로 든다는 점은 확실한 단점입니다. “회선 유지에 드는 추가 비용 × 개월 수”를 반드시 계산해본 후 결정하세요. 다행히 알뜰요금제로 추가 회선을 뚫는다면 위약금이 없기 때문에 원하는 기간에만 가입 후에 잘 안쓰는 기간에는 해지 후 Wi-Fi 모델처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해요.

사용 시나리오별 추천
집·회사·카페 위주 + 영상 시청/필기/원격수업 위주 사용이면 Wi-Fi가 가장 경제적입니다. 스마트폰 무료 테더링 데이터로도 충분히 커버가 가능하고요. 초기 비용과 매달 비용을 모두 낮출 수 있어서 추천드려요.
이동 중 사용 잦음 + 팀즈/줌 회의·클라우드 편집·VPN을 자주 사용한다면 5G를 구입하는 것이 스트레스를 확 줄여줍니다. 연결 대기·재연결이 사라지고 지연시간도 줄어들어 실사용 할 때 훨씬 쾌적해요. 이런 경우에는 데이터 사용량도 많기 때문에 테더링으로 버티려다가 오히려 테더링 데이터 구매하는 가격이 더 나올 수 있어요.
부모님이 사용하는 경우 처럼 테더링 설정 방법을 잘 몰라서 반복 설명이 필요한 경우에도 5G를 추천드려요. 이 경우에는 5G처럼 빠른 데이터 통신요금은 필요없기 때문에 저렴한 몇천원대의 LTE 요금제를 이용하셔도 좋습니다.
구매 가이드 & 마무리
결론은 단순합니다. 매일 두 번 이상 이동 중에 쓸 일이 있으면 5G, 아니면 Wi-Fi를 선택하시면 되요.
그래도 모르겠다면 체크리스트 세 가지를 점검해보세요.
① 내가 한 달에 테더링을 몇 번 켜나?
② 데이터가 하루 몇 GB면 충분한가?
③ 회의·원격작업 같이 갑자기 연결이 끊겼을 때 치명적인 상황이 있나?
참고로 저같은 경우에는 5G 요금제를 운영하다가 현재는 아기를 낳고 대부분의 시간을 집에서 보내기 때문에 회선을 끊고 WiFi만 이용하는 중입니다. 제 경험이 선택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