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T Review 사이트 내의 링크들은 제휴 파트너스 & 어필리에이트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일정 수수료를 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네이버 쇼핑 커넥트 활동의 일환으로, 판매 발생 시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가족 산후도우미(친정엄마) 신청 조건 및 지원금은 얼마?

출산을 앞두고 ‘산후조리 어떻게 하지?’ 고민하다 보면, “우리 엄마가 직접 해주면 좋겠다”는 생각이 한 번쯤 들죠.

그런데 이제는 친정엄마가 ‘공식 산후도우미’로 등록되고, 정부지원금까지 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바뀐 ‘가족 산후도우미 제도(친정엄마)’ 신청 조건과 지원금 액수까지 한 번에 정리해볼게요.

‘한번 도전해볼까?’ 싶으신 분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정보로 준비했으니 끝까지 읽어봐주세요!

친정엄마가 산후도우미가 될 수 있다고?

“공식 산후도우미(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자격을 갖추면 정부 지원금을 받을 수 있어요.
단, 조건은 조금 까다롭습니다.

신청 조건 총정리

항목내용
연령/건강조건만 60세 미만, 신체·정신 건강 상태 필요
(의료기관 건강검진서 제출 필요 가능)
자격 요건보건복지부 인증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교육(60시간 이상) 이수 후 자격증 취득
등록 필수반드시 교육 수료 이후 공식 제공기관(전자바우처 등록된 업체)에 소속되어야 함
신청 가능 기간출산 40일 전 ~ 출산 후 60일 이내

자격증만 있다고 끝이 아니고 제공기관에 등록된 인력으로 활동해야 지원 대상입니다!

가족 산후도우미, 얼마까지 지원받을 수 있을까?

2025년 기준, 첫째 단태아 기준 15일 이용 시 약 149만 원 이상 지원 받을 수 있어요.

자세한 건 위 표에서 [정부지원금]을 보시면 되구요.
15일치를 진행해야 가장 많은 지원금을 받을 수 있으니 [정부지원금-연장]을 보시면됩니다.

[가]형 = 기초수급자,
[통합]형 = 중위소득 150%이하,
[라]형 = 중위소득 150% 초과

예를 들어, 부부 소득이 중위소득 150% 이하이고, ‘첫째’라면
할머니(=친정엄마)는 128만 1천원을 정부로부터 지원금을 받을 수 있어요.

꽤 쏠쏠하죠?

산후도우미 교육비는 얼마? 환급도 될까?

그런데 알아보니 산후도우미 교육과 자격증을 따기 위해서는 돈이 들어가더라고요.

  • 신규자 교육: 약 25만 원
  • 경력자 과정: 약 20만 원
  • 교육기관·지역별 차이 있음
  • 교육 이후 일정 기간(예: 100일 이상) 활동 시 전액 환급 가능
  • 내일배움카드 등 지원 프로그램 활용 시 비용 없음

다행히 여러 정책들을 활용하면 자격증을 따기 위한 교육비는 전액 환급이 가능해요.

산후도우미 지원금 신청 방법 & 필요한 서류

가족이 산후도우미 자격증 & 등록까지 마쳤을 경우, 지원금 신청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내용
신청 주체산모 본인 or 배우자 가능
신청 장소관할 보건소 방문 접수
또는 복지로, 정부24 온라인 신청
필요 서류산모 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 출생증명서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친정엄마 통장사본 등

사실 신청 장소는 지자체별로 조금씩 다른데요.
예를 들어, 정부24에서 ‘산후도우미’라고 검색해보면 여러 지자체별로 다르게 신청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어요.

따라서 본인이 사는 지역 + 산후도우미 지원금을 검색해보시는 것이 빠릅니다.

산후도우미 지원금 받기 전 주의사항은?

  • 교육 이수 없이 활동하면? ❌ 지원 불가
  • 등록 없이 도와주면? ❌ 일반 가족 돌봄으로 간주
  • 신청 기한 놓치면? ❌ 바우처 소멸

2025년부터는 친정엄마도 교육만 잘 이수하면 정식 산후도우미로 활동 + 지원금 수령까지 가능하니,
출산 예정이라면 지금부터 준비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마무리

이번 시간에는 가족 산후도우미를 도전 해볼까 말까 하시는 분들을 위해 제가 알아본 정보들을 종합해서 정리해보았어요.

저희는 아쉽게도 엄마가 만 60세를 넘어서 진행해보진 못할 것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